정 전 의원은 메모 형식의 인사말을 통해 “명절 선물로 책을 보내드렸는데, 이번에는 낙선을 하고나니 재정사정도 그렇고 앞으로는 가급적 제 글을 보내드리겠다”고 말했다. 또 목차와 서문을 엮어 만든 회고록에 대해 “‘최고의 정치, 최악의 정치’는 이명박정부 탄생과 소멸의 회상기로서 ‘왜 정권은 매번 실패하는가’에 대한 문제와 답을 찾아본 글”이라고 소개했다.
정 전 의원의 회고록을 통해 MB정권을 만든 개국 공신으로 정권의 실패에 반성하며, 이명박 정권의 국정운영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그는 “오죽하면 내부에서 조차 국정운영을 ‘패밀리 비지니스’처럼 한다는 냉소까지 나왔겠느냐”며 “기업가 출신인 만큼 권력의 공공성에 유난히 취약해 권력을 마치 축재하듯이 벌어들인 사유재산으로 여긴 것 같다”고 지적했다.
대선자금 문제도 거론했다. 정 전 의원은 “모든 정권의 집권 과정에서 잉태되는 문제의 핵심은 대선자금이다. 규모는 줄어들어왔지만 늘 적법의 범위를 초과할 수밖에 없어 위험하다. 그래서 친인척이 관리한다. 그 친인척 주변으로 돈과 사람이 몰리고, 그는 자연히 실세가 된다. 그리고 집권 후 견제 받지 않는 권력이 된다. 주변인사들은 그를 호가호위하며 낙하산 인사의 원인이 되고 국정 농단의 주역들이 된다. 매 정권마다 되풀이 되는 모든 일은 결국 정치자금제도의 문제로 귀결된다”고 했다. MB정권에서 ‘영일대군’ ‘상왕’ 등 으로 불렸던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또 이 전 부의장과 맞선 자신의 행보를 두고도 “(남경필 경기지사 등 소장파 의원들과) 소위 ‘55인 반란 사건’을 주동했으나 (18대 총선에서 이 전 부의장과 이재오 전 의원의) 동반 불출마를 실행에 옮기지 못한 건 결국 나의 용기 부족이었다”고 회고했다. 그는 이어 “이후에도 권력투쟁이라는 오해를 불러일으키며 여권 내 갈등만 야기시킨 건 결국 내가 공적인 일을 도모하면서 사사로운 경멸과 증오를 버리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털어놨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