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라이언 미 하원의장 등 상·하원의원 20여명 “핵실험 규탄” 성명 잇따라

입력 2016-09-11 06:30 수정 2016-09-11 14:17
미국 하원의장과 상·하원 외교·군사위원장 등 20여명이 북한의 5차 핵실험을 규탄하는 성명을 앞다퉈 내놨다.

폴 라이언 하원의장

10일(현지시간) 미 의회에 따르면 폴 라이언 하원의장은 성명에서 “미국과 미국의 동맹을 계속 위협하고 도발적인 행동으로 국제사회를 무시하는 북한의 최근 핵실험을 가장 강력한 어조로 규탄한다”면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의회가 올해 초 부여한 대북제재 권한을 최대한 활용하고 김정은 정권을 겨냥한 국제사회의 제재를 완전히 이행하도록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밥 코커 상원 외교위원장

밥 코커 상원 외교위원장은 “오바마 행정부와 중국, 그리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쏟아내는 말만으로는 북한의 핵 위협을 결코 멈출 수 없다”면서 “미국, 중국, 유엔이 즉각적으로 대북제재를 강화하지 않으면 북한은 핵보유국의 목표를 달성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에드 로이스 하원 외교위원장

에드 로이스 하원 외교위원장은 “북한의 이번 핵실험은 미국의 결의를 테스트한 것”이라면서 북한의 고려항공과 중국의 기업·은행을 포함한 제재를 오바마 행정부가 조속히 실시하라고 요구했다.

존 매케인 상원 군사위원장

존 매케인 상원 군사위원장은 헤리티지 재단에서 열린 ‘미국·아시아 정책’ 세미나에서 북한의 도발을 규탄하면서 “북한을 자신의 위성국가로 남기려는 중국의 구상이 사태를 악화시키고 있다”고 비난했다.

맥 손베리 하원 군사위원장은 “올 들어 두 번째이자 총 다섯 번째인 이번 핵실험은 ‘무법 정권’ 북한의 위협을 잘 상기시켜준다”며 “오바마 행정부가 모든 대북제재를 철저히 이행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공화당 대선 경선 주자였던 테드 크루즈·마르코 루비오 상원의원도 성명을 내고 철저한 대응을 촉구했다.

크루즈 의원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와 외교는 실패했다”면서 “미국의 대북정책에는 북한의 핵확산 활동을 돕는 중국 기업을 제재하는 방안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루비오 의원은 “북한은 주민을 잔혹하게 억압하는 살인범죄집단”이라면서 “오바마 행정부는 북한을 돕는 중국 기업과 개인까지를 대상으로 한 대북제재법을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원들은 공통적으로 대북제재법의 철저한 이행과 중국의 대북제재 이행 압박,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신속한 한반도 배치, 북한의 테러지원국 재지정을 주문했다.

스테니 호이어 하원 원내대표는 “미국은 동맹인 한국과 일본을 굳건히 지지한다”면서 “동맹국, 중국, 러시아와 협력해 도발의 대가가 무엇인지 북한이 확실하게 깨닫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상원 외교위 민주당 간사인 벤 카딘 의원과 하원 외교위 민주당 간사인 엘리엇 엥겔 의원도 규탄 성명을 냈다.

코리 가드너 상원 외교위 동아태 소위 위원장은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기업에 대한 ‘세컨더리 보이콧’을 이행하고 인권유린 행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며, 사이버 제재를 촉구했다.

테드 포 하원 외교위 테러·비확산·무역 소위 위원장은 “오바마 행정부는 그동안 순진하게도 ‘전략적 인내’ 정책을 폈는데 이제는 북한의 중대한 핵확산 행위에 확실하게 책임을 물을 때”라면서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할 것을 요구했다.

톰 코튼 상원의원은 “북한의 이번 핵실험은 사드 배치, 대북제재 강화, 동맹과의 군사협력 확대 필요성을 재확인해 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밖에 에드워드 마키·켈리 아요테·데이비드 비터 상원의원과 피터 올슨·호아킨 카스트로·마이크 피츠패트릭·브래드 애시포드 하원의원도 규탄 성명을 내고 미국과 국제사회의 강경 대응을 주문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