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국적’이 日 스타 여성정치인 발목 잡나

입력 2016-09-08 17:10 수정 2016-09-08 17:13

일본 제1야당 민진당 대표 경선에서 가장 유력한 후보인 렌호(蓮舫·49·사진) 대표대행이 이중국적 논란에 휩싸였다.
1967년 대만 출신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렌호 대행은 85년에 일본 국적을 취득했다. 당시 국적법 개정으로 부모 중 한명만 일본인이면 일본 국적 취득이 가능했다. 렌호 대행은 그해 아버지와 함께 주일 타이베이 경제문화 대표처(대사관 격)를 찾아가 대만 국적 포기를 신고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당시 대만 국적법은 본인 의지로 국적을 상실할 수 있는 조건을 만 20세로 규정하고 있어 18세였던 렌호의 국적 포기 신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이중국적 의혹이 제기되자 렌호 대행은 대만 측에 자신의 국적이 남아있는지 확인하는 절차를 취하는 동시에 대만 국적 포기 서류도 제출했다. 그는 “31년 전의 일이라서 확인에 시간이 걸린다는 대만 측의 답변을 받았고, 혹시 국적이 남아있을지 몰라서 포기 서류를 다시 냈다”고 말했다.

대만 국적이 남아있을 경우 오는 15일 당 대표 선거 표심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일본 국적법상 국회의원에 외국 국적자를 배제하는 규정은 없다. 다만 외교관은 외국 국적이 없어야 한다. 외교관이 소속된 행정부와 자위대를 이끄는 총리, 그리고 총리를 목표로 하는 야당 당수에 외국 국적자가 적합한지가 이번 논란의 핵심이다. 렌호 대행은 참의원으로 3차례 당선되고, 민주당 정권 때 행정쇄신상도 지냈지만 그동안 국적 문제가 불거지지는 않았다.

현재 렌호 대행은 당내 과반수 지지를 얻고 있다. 경쟁자인 마에하라 세이지 전 외무상 측은 “이중국적 문제를 방치하면 자민당에 공격의 빌미를 줄 수 있다”며 견제에 나섰다.

천지우 기자 mog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