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생대 백악기의 도마뱀 발자국이 세계 최초로 우리나라에서 발견됐다. 국립문화재연구소가 경남 ‘남해 가인리 화석산지’(천연기념물 제499호)에서 앞뒤 발자국 8개로 이뤄진 도마뱀 화석을 찾아냈다.
이 같은 사실은 국제학술지(SCI) ‘백악기 연구(Cretaceous Research)’에 ’아시아 백악기에서 발견된 세계 최초의 도마뱀형(lacertiform) 발자국 화석‘이라는 제목으로 지난달 말 온라인 공개됐다.
세계에서 한 번도 보고된 적 없는 이 화석은 1억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 함안층에서 확인됐다. 백악기 약 1억년 전후 경상남북도의 퇴적층이 함안층이다. 발자국 산출 다양성과 규모면에서 국내 최대다. 백악기로는 세계적 수준의 학술가치가 규명된 공룡, 익룡, 새 발자국 화석들이 다수 발견돼 국제적으로도 인정받는 지층이다.
이번 도마뱀 화석은 2013년 2월 16일 진주교육대학교 김경수 교수가 이끄는 경기도 지구과학교사연구회 지질답사 과정에서 창원 회원초등학교 문해원 교사가 찾아냈다. 이후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을 중심으로 한국, 미국, 스페인, 중국 4개국 국제공동 연구팀이 결성됐다. 척추동물 발자국 화석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연구팀은 지난 4월 한국을 방문했다.
이 화석을 통해 우리나라 중생대 백악기는 고생흔학(古生痕學)적 다양성이 매우 높았다는 점이 밝혀졌다. 새로운 화석의 이름은 ‘한국에서 발견된 새로운 종류의 도마뱀 발자국’이라는 뜻의 ‘네오사우로이데스 코리아엔시스(Neosauroides koreaensis)’로 지었다.
기존의 중생대 도마뱀 발자국 화석은 트라이아스기의 린코사우로이데스뿐이다. 이번에 발견된 도마뱀 발자국 화석은 린코사우로이데스와는 형태학적으로 큰 차이를 보인 반면, 미국 서부에 널리 서식하고 있는 현생 산쑥도마뱀의 발자국과 닮은 점이 많다.
남해=이영재 기자
1억년전 도마뱀, 경남남해에 발자국…세계최초 발견
입력 2016-09-08 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