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3국이 11월 말부터 12월 초 중 일본에서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을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교도통신은 3국 정상회담을 두고 의장국인 일본의 도쿄를 개최지로 상정하는 등 구체적인 논의에 들어갔다고 7일 보도했다. 이번 회담이 성사되면 리커창(李克強) 중국 총리와 박근혜 대통령은 첫 방일이 된다. 일본에서 3국 정상회담이 열리는 것도 약 5년 반 만이 된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이번 회담을 통해 동아시아 지역의 안정을 꾀한다는 의도다.
아베 총리는 오늘 박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직접 방일을 요청할 예정이다. 누카가 후쿠시로 한·일 의원연맹회장도 다음달 말 방한해 박 대통령과의 면담을 조율할 방침이다.
이 통신은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한·일 관계 개선에 길이 열렸다며 방일 의욕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고 전했다. 하지만 남중국해를 두고 일본과 갈등 중인 중국은 아베 정권의 동향을 지켜보고 리 총리의 방일을 최종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는 회담이 실현될 경우 핵무기와 탄도 미사일 개발을 추진하는 북한에 대한 대응, 테러 대책 연대 등을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협상과 3개국의 올림픽 개최 등 스포츠 교류 추진에 대해 제안할 예정이다.
한·중·일 정상회담은 2008년부터 각국이 차례로 개최했으며, 이번에 일본에서 개최되면 3번째 회담이 된다. 마지막 회담은 지난해 11월 서울에서 열렸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