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 위원장 “한진해운 협력 안해 물류 차질…한진그룹 책임져야”

입력 2016-09-05 12:53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5일 한진해운 법정관리로 빚어진 글로벌 물류대란을 한진그룹이 사회적 책임을 가지고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 위원장은 “한진해운과 관련한 한진그룹과 대주주들이 사회적 책임을 지고 이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임직원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룹 차원에서 한진해운 재활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분명하게 입장을 발표했다”고 상기시켰다. 그는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어 금융 현안을 설명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임 위원장은 또 “어제 산업은행이 한진을 면담하고 이런 입장과 한진 측의 적극적 자세 사회적 책임을 자세를 촉구하고, 채권단도 노력이 필요하다면 협의해서 지원할 수 있다는 의사를 한진 측에 통보를 했다”고 밝혔다.

 한진해운의 법정관리를 결정하면서 물류 대책이 미흡했다는 지적도 잇따르고 있다. 해상에 떠 있는 컨테이너선이 79척이고 30만개 정도의 컨테이너들이 실려 있다. 이 중 11%는 화주가 국내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임 위원장은 “해운 항만 물류 분야의 대책을 쭉 논의해왔지만, 한진해운이 기업을 계속 유지한다는 생각에서 선적 화물에 대한 화주나 운항 정보 등을 협조하는데 탐탁하지 않아 (사전에) 파악하기가 쉽지 않았다”고 한진해운과 한진그룹에 책임을 돌렸다. 그는 “따라서 이런 문제를 사전에 질서있게 대비를 다 할 수 없었던 한계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나 앞으로 해양수산부가 중심이 돼 전 부처가 달려들어 대응방안을 추진해나갈 것이고 금융위도 협력하고 채권단도 적극 나서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오는 8일과 10일 현대상선의 선박을 즉각 투입하면 앞으로 나갈 물량에 대한 처리를 즉각 이뤄질 것이고, 삼성 LG 등의 물량도 현대상선이 이미 협의를 하고 있다”며 “빠르게 안정돼 갈 수 있어야겠다 그런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상 운항을 위한 자금 지원 문제에 대해선 “부족자금은 소유주가 스스로 조달하는 게 원칙이고 가능하지 않다면 원칙에 의해 처리될 것이라는 걸 누누이 강조해왔고 그것이 해운산업 구조조정의 원칙”이라며 “구조조정 원칙을 지키고 일관되게 해나가되 다만 그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고통을 최소화하고 이해관계인이 손실분담에서 함께 져야 하는 것 그것이 지켜야 할 과제”라고 임 위원장은 강조했다. 필요한 재원이 얼마인지는 파악하지 않았지만 전체적으로 연체된 금액이 6500억원 규모라면서 임 위원장은 다시 한진그룹을 향해 책임을 강조했다.

 “한진해운에 관해서 이것이 한진 계열과 절연이 된다, 남의 기업이다 라고 하는게 과연 맞는 일입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한진해운은 한진그룹 계열사이고 대주주 또한 한진 그룹측이 대주주라는 점이 분명한 사실입니다. 기업의 일을 제대로 처리하는 것이 기업의 신용이고 이는 한진해운 뿐만 아니라 대주주로서 한진그룹 전체의 신용도 함께 생각해야 합니다. 단지 도의적 책임 이것 만 가지고서 피해서는 안 됩니다. 기업은 분명한 사회적 책임이 있습니다. 1차적 책임은 한진해운에 있는 것인데 이런 것이 전제되지 않고 논의되지 않고 채권단이 돈을 줘라. 정부가 보증서라 하는 것은 사회 정의에 반하는 것이고 원칙에도 맞지 않고, 대주주 한진그룹으로서 당연히 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런 과정에서 채권단 역할이 있다면 지원하겠다고 어저께 통보를 했고, 이런 노력을 지켜보면서 협조하겠습니다.”

김지방 fatty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