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제주 노지감귤 생산량은 54만4000t으로 예측됐다.
제주도 감귤관측조사위원회는 노지감귤 2차 관측 조사결과 54만4000t 정도가 생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1차 관측시보다 7만t 가량 줄어든 것이다.
2차 착과조사는 지난 8월16일부터 25일까지 농업기술원과 관측조사 요원 365명이 투입돼 제주지역 458곳에서 실시됐다. 감귤관측조사위원회는 오는 11월 3차 조사를 벌여 최종 생산량을 제시한다.
착과상황 관측조사는 조사대상 감귤원에 2그루 중 1그루의 과일을 모두 따고, 1그루는 열매가 달린 상태에서 과일수와 크기를 조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조사결과 1그루 당 평균 998개가 달려 평년 780개 보다 218개 더 열린 것으로 나타났다.
열매크기는 38.5㎜ 수준으로 평년 40.5㎜에 비해 2.0㎜ 작았다.
올해산 노지감귤은 6월 일조량 부족과 7월 상순 주야간 평균 기온 상승으로 평년에 비해 생리적 낙과가 많았으나, 워낙 꽃이 많이 피어 착과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감귤 품질은 당도 8.0브릭스로 평년 당도 6.6브릭스 보다 1.4브릭스 높았다.
도 관계자는 “나무 한그루에 감귤 1000개가 열려 관측 사상 가장 많았고, 크기는 역대 최저”라며 “앞으로 가을비가 많이 오지 않고 관리를 잘 할 경우 맛 좋은 감귤이 생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
올해 제주감귤 생산량 54만t 예상
입력 2016-09-04 1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