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불용' 기조 확인한 한·러정상, 사드 등 논의

입력 2016-09-03 20:02

박근혜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3일 ‘북핵을 용인하지 않는다’는 기조를 확인하고 북한 핵과 미사일 위협으로부터 한반도 평화를 지키기 위해 전략적 소통을 강화키로 했다.
 두 정상은 이날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교에서 열린 한·러 정상회담을 통해 이 같이 의견을 모았다.
 박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과의 공동기자회견에서 “날로 고도화되는 북한의 핵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위협은 우리에게 삶과 죽음의 문제”라며 “책임 있는 정부라면 국가 안위와 국민 생명을 위한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러 협력을 더욱 확대해나가기 위해서는 이 지역의 큰 안보 위협인 북핵·미사일 문제를 시급히 해소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북핵·북한 문제 해결에 있어 푸틴 대통령과의 전략적 소통을 더욱 강화해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또 “국제사회가 과거와 다른 시급성과 강력한 결의로 북핵과 미사일 문제를 다루지 않을 경우 동북아뿐 아니라 전체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이 크게 위협받게 될 것”이라면서 “역대 가장 강력한 대북제재 조치를 담은 안보리 결의가 이행되는 지금이야말로 북한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회견에서 “우리 두나라(한국과 러시아)는 평양의 자칭 핵보유국 지위를 용인할 수 없다”고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또 “전반적인 군사·정치의(긴장) 완화 틀 내에서 해결돼야 한다고 본다”며 “역내 모든 국가간에 신뢰성 기초를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양국 정상은 회담에서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한반도 배치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으나, 기자회견에서 사드 문제를 공식 언급하지는 않았다.
 다만, 박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책임 있는 정부라면 국가 안위와 국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강구해나갈 수밖에 없는 것”라고 밝힌 대목은 사드가 자위적 조치임을 설명한 대목으로 풀이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양국 정상은 사드 문제를 포함해 한반도 및 동북아의 전략적 안전 문제와 관련, 우호적인 분위기 속에서 건설적인 의견 교환을 가졌다”며 “양 정상은 북핵불용 입장 하에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전략적인 소통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블라디보스토크=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