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북핵위협 제거되면 남북러 3각 협력사업 재점화"

입력 2016-09-03 14:06

러시아를 방문 중인 박근혜 대통령은 3일 “지금 우리가 시급성을 갖고 북한 핵 개발을 막지 못한다면 머지않아 북한의 핵 위협은 돌이킬 수 없는 현실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현재 북한의 끊임없는 도발로 나진-하산 물류사업 등 남북러 3각 협력 프로젝트들의 진행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이같은 장애가 제거되면 보다 포괄적인 사업으로 재점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에서 열린 동방경제포럼(EEF) 전체세션 기조연설을 통해 “유라시아 대륙 내 핵심적 단절고리이자 최대의 위협인 북한 문제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북한은 핵실험 이후에도 이미 19발의 탄도 미사일을 발사했다”며 “이는 2주에 한 번 꼴로 미사일을 발사한 셈으로 김정일 정권 18년 동안의 총 미사일 발사 숫자를 상회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북한이 동해상으로 발사하고 있는 탄도 미사일은 이곳 블라디보스토크를 비롯해 동해를 항행하는 선박들의 안전에도 큰 위협이 되고 있다”며 “북한 정권은 주민들의 기본적인 인권과 최소한의 인간적인 삶을 영위할 권리마저 외면한 채 모든 재원을 핵무기와 탄도미사일 개발에 쏟아 붓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 대통령은 아울러 “이 자리를 빌려 그간 확고한 북핵불용의 원칙 아래 안보리 결의 2270호의 채택 및 이행에 적극 참여하고 있는 러시아와 국제사회의 노력에 사의를 표한다”며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국제사회의 책임있는 일원이 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또 “비록 지금은 북한이라는 ‘끊어진 고리’로 인해 극동의 엄청난 잠재적 에너지가 현실화되지 못하고 있지만 언젠가 그 고리가 이어질 때, 이곳은 유라시아 대륙을 아시아·태평양 지역과 하나로 연결하는 번영과 평화의 가교가 될 것”이라며 극동개발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포괄적 환경 구축, 극동지역의 산업구조 다변화, 주변 경제권과의 연계를 통한 협력 범위 확대 등을 제안했다.

블라디보스토크=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