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오늘 한·러정상회담... '사드,북핵' 외교 주목

입력 2016-09-03 07:51

박근혜 대통령은 3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한반도 사드(THAAD) 배치를 위한 설득과 북핵 압박 외교에 시동을 건다.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방문 중인 박 대통령은 주빈으로 초청받은 제2차 동방경제포럼(EEF) 이후 러시아 양자방문 일정에 돌입, 푸틴 대통령과 취임 후 네 번째 한·러 정상회담을 갖는다. 이번 방문은 박 대통령 취임 후 양자 차원에서 이뤄지는 첫 러시아 방문이자 2013년 11월 푸틴 대통령의 방한에 대한 답방이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박 대통령은 북핵·북한 문제 등 한반도 정세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양국간 실질협력 강화 방안, 기후변화·테러 등 글로벌 이슈 관련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특히 한반도 사드 배치가 자국의 안보이익을 침해한다는 이유로 심각한 우려와 반대를 표명하고 있는 러시아를 상대로 본격적인 사드 설득 외교에 나설 전망이다.
 박 대통령은 이번 순방에 앞서 러시아 국영통신 인터뷰에서도 "사드 배치는 나날이 고조되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으로부터 우리의 국가적 안위와 국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불가피하게 내린 자위적 방어 조치"라며 "문제의 본질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이므로, 북한의 핵위협이 제거되면 자연스럽게 사드 배치의 필요성도 없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우리 정부는 이러한 우리의 기본 입장을 러시아측에 충실히 설명해 오고 있으며 러시아측에서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부분이 있다면 앞으로도 계속 긴밀히 소통해 나갈 것"이라며 푸틴 대통령을 상대로 적극적인 사드 설득에 나설 것임을 밝힌 바 있다.
 박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을 상대로 한반도 사드가 제3국을 겨냥하지 않는다는 점을 거듭 강조하고, 사드 배치가 중국과 러시아의 안보 이익을 침해하지 않는다는 논리로 설득에 나설 전망이다.
 또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등 점차 고도화되는 북한의 핵·미사일 타격 위협을 언급하면서 이번 사드 배치 결정이 오로지 국민 생명과 주권 확보를 위한 조치일 뿐 다른 어떠한 정치·외교적 계산도 없다는 점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 대통령은 한·러 정상회담에 앞서 열리는 EEF에서는 기조연설을 통해 러시아 극동지역 협력비전과 구체적 협력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며 연설 후에 러·일 정상과 질의응답 세션도 갖는다. EEF의 부대행사로 열리는 한·러 비즈니스 다이얼로그에도 참석, 300여명의 양국 기업인을 격려한다.
 올해로 2회째를 맞는 EEF는 러시아의 극동개발 촉진을 위해 푸틴 대통령이 직접 창설한 포럼이다. 푸틴 대통령이 박 대통령을 주빈으로 초청한 것은 극동개발에 있어 양국간 파트너십을 강화하려는 러시아의 의지를 잘 보여주는 것으로 극동지역 개발 파트너로서의 양국간 협력 모멘텀 강화가 기대된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블라디보스토크=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