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회사인 아마존과 스마트홈 분야에서 손을 잡았다.
LG전자는 스마트씽큐 허브에 아마존의 인공지능(AI) 비서 서비스인 '알렉사'를 연동시킨다고 2일 밝혔다.
사용자는 음성만으로 스마트씽큐 허브를 통해 LG전자의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다. 날씨나 일정을 화면과 음성으로 알 수 있고, 블루투스와 연결하면 스마트폰에 있는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스마트씽큐 센서는 아마존의 쇼핑 시스템인 '대시(Dash)' 기능을 더했다. 사용자는 이 센서를 누르기만 하면 생활필수품을 간편하게 주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탁기 도어에 부착된 스마트씽큐 센서를 누르면 세제를, 냉장고에 부착한 센서를 누르면 음료를 구입할 수 있다.
스마트씽큐 센서는 스마트 기능이 없는 일반 가전에 붙여 스마트 가전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세탁기에 이 센서를 붙이면, 세탁이 끝난 후 일정 시간 동안 세탁기에서 진동이 없으면 세탁물을 꺼내라고 알려주고, 누적 세탁 횟수를 기억해 세탁통 세척 시기도 알려준다.
LG전자는 ▲스마트폰으로 제어할 수 있는 LED 조명인 스마트씽큐 전구, ▲ 전력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씽큐 플러그, ▲움직임을 감지해 스마트폰으로 알려주는 스마트씽큐 모션센서 등 새로운 액세서리도 소개했다. 이들 제품 모두 스마트씽큐 센서, 허브와 연동된다.
LG전자는 새로운 스마트 냉장고도 처음 선보였다. 이 제품은 상냉장실의 오른쪽 도어에 있는 투명한 매직스페이스가 특징이다. 외관은 터치가 가능한 29인치 LCD 디스플레이다. 스마트폰의 꺼진 화면을 두 번 두드려 켜는 ‘노크온’ 기능을 응용해, 사용자는 매직스페이스를 두 번 두드리면 냉장고 안을 들여다 볼 수 있다. 투명한 창을 통해 보관중인 식품을 보면서 식품관리목록에 유통기한 등을 디스플레이에 입력할 수 있다.
냉장실 내부 상단에 있는 200만 화소의 초광각(超廣角) 카메라는 야채실뿐만 아니라 문 안쪽의 음료 수납공간까지 촬영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보내줘 외부에서 식품 주문할 때 매우 유용하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