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 문화체육관광부, 산업통상자원부는 2017년 미래성장동력 창출 분야 예산으로 15조3000억원을 투자한다고 1일 밝혔다. 올해보다 1조767억원(7.6%) 늘어난 수치다.
4차 산업협혁명 선제 대응 등 미래성장동력 창출 지원에 총 7조7000억원이 투자된다. 스마트카, 사물인터넷(IoT), 드론 등 19대 미래성장동력 중 산업화 속도가 높은 분야를 집중지원하기 위해 1조3004억원이 배정됐다. 올해보다 8.3% 투자를 늘린다.
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이날부터 지능정보산업단을 출범하고 10월 중에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 대책을 발표한다. 4차 산업혁명 대응에는 올해보다 46% 늘어난 3298억원이 배정됐다. 이 중 로봇산업 핵심기술개발산업에 884억원, 스마트카 개발에 370억원을 투자한다.
태양광, 풍력, 수소·연료전지 등 청정에너지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등 미래 성장 유망 산업 투자도 늘려 모두 1조1154억원을 지원한다.
글로벌 시장에서 콘텐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4조78억원을 투입한다.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의 신규 콘텐츠 산업 육성을 위해 상암DMC와 일산빛마루를 양대 기원 거점으로 정하고, 첨단 게임 콘텐츠 제작지원과 콘텐츠 펀드 조성을 확대한다.
신약후보물질 개발(270억원), 바이오 신산업(5125억원), 달 탐사 사업(510억원) 등 연구개발(R&D)에 대한 전략적 투자도 강화해 총 1조5468억원을 지원한다.
정부는 창조경제 플랫홈 활성화 등 미래성장동력 기반 강화에 7조6000억원을 투입한다. 신진 연구자를 대상으로 ‘생애 첫 연구비’ 과제 1000개를 신설하는 등 R&D 지원 및 인력 양성에 모두 4조7160억원을 투자한다.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 본격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핵심기능 및 인력 등을 확충하고, 판교 창조경제밸리를 글로벌 수준의 창업·혁신 허브로 육성하는 등 창조경제 거점 기능을 강화한다. 창조경제혁신센터 연계사업을 확대하고, 지역특화사업 활성화 사업을 신설한다.
K컬쳐 밸리와 K팝 아레나공연장 등 문화창조융합벨트의 인프라 구축을 완료하고, 지역·글로벌 확산을 위해 지방 문화창조벤처단지와 글로벌 허브를 조성한다. 문화융성 기반을 강화하는데 1조7491억원을 지원한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