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은 31일 “용산공원은 국민적 공감대를 통해 국가적 가치를 반영한 미래서울의 심장 형태로 358만㎡가 온전히 회복돼야 한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시청에서 ‘용산공원에 대한 입장 및 정책 제안’ 발표를 통해 “용산미군기지 반환은 단순한 부지의 반환이 아닌, 100여년 이상 역사적 흐름을 간직한 수도 중앙의 광활한 118만평 대지에 대한 공간주권의 회복인 동시에 정체성의 회복”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용산공원은 몽고, 청, 일본, 미국 등 외국군의 주둔지로 오랫동안 사용돼 민족수난의 역사를 반영하고 있는 땅이자 제국주의 시대와 냉전시대가 한 장소에 공존하는 세계사적으로 유일한 장소다. 또 북한산∼남산(용산)∼관악산으로 이어지는 남북녹지축을 통해 민족정기를 회복할 수 있는 수도 서울의 미래이자 21세기 세계로 향하는 신중심지로 주목받고 있다.
박 시장은 현재 국토교통부가 주도하는 용산공원 조성 방식에 대해 최초의 국가공원이지만 명확치 않은 공원 성격, 정부 부처가 선점하고 미군이 잔류하는 반쪽자리 국가공원, 제대로 된 현황조사 없는 성급한 공원조성계획, 시민소통·공감 외면한 국토부의 일방적인 추진 등 4가지 문제점을 지적했다.
특히 정부선점부지(93만㎡)와 미군잔류부지(22만㎡)를 제외하면 용산공원 조성 면적은 당초 358만㎡ 대비 68%에 불과해 미군기지가 이전하더라도 여전히 외세가 잔존하는 반쪽짜리 공원으로 전락할 우려가 크다고 주장했다.
박 시장은 이러한 문제점을 바로잡고 국가공원에 걸맞는 용산공원을 만들기 위해 3대 원칙을 제시했다.
첫째, 국가적 가치를 반영하기 위해 용산공원의 역사·문화·생태 등 가치에 대한 조사가 선행돼야 하고 국가적 가치구현을 위한 공원조성의 기본방향 설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358만㎡의 온전한 형태로 회복되어야 하고 셋째, 국민적 관심과 참여로 조성돼야 한다는 것이다.
박 시장은 이어 공동조사 실시, 국가공원 성격의 명확화, 공원 경계 회복, 반환 및 이전시기 공표, 범정부적인 기구 구성, 시민참여확대 등 6개 사항을 제안했다.
그는 용산기지내 환경오염실태 조사로 오염정화방식, 비용, 주체, 정화기간 등을 논의해야 하고 수많은 유적과 유물 등 역사적 가치가 있는 역사문화유산도 조사해 역사적 가치규명과 세계문화유산 등재도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시설 및 미군잔류부지도 공원에 포함되도록 공원부지 경계를 변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국토부뿐만 아니라 시민, 학계전문가, 국방부, 문체부, 서울시 등 범정부적인 기구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공원 조성단계부터 운영과정에 이르는 전체과정은 기부, 시민성금, 봉사 등 시민활동 및 참여가 원동력이 되는 방식으로 전환돼야 하며 학술연구, 토론회, 시민행사 등 용산공원에 대한 관심 유도와 의견 수렴을 통한 참여기회 확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박 시장은 정부에 용산공원조성특별법 개정과 추진일정 전면 수정을 강력히 요구했다.
박 시장은 “현 세대에 한정된 근시안적인 개발계획으로 외세가 잔존해 민족공원의 근간을 훼손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며 “용산공원이 대한민국 수도 서울, 그 중심에 세계적 명품공원으로 조성되어 미래세대를 위한 기회와 도약의 공간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박원순 시장, “용산공원 반쪽 전락 우려, 국민공감대로 온전히 회복돼야”
입력 2016-08-31 10:27 수정 2016-08-31 1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