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생활, 내 인생의 작전타임, 병무청 자원병역이행 수기집발간

입력 2016-08-31 09:51

“군대의 시간은 축구나 농구게임에 있는 하프타임, 또는 작전타임이다” 
 31살의 늦은 나이에 군에 입대해 2사단에서 복무중인 박주원(31) 일병은 미국 뉴욕주 스키드모어 칼리지 교수이다. 만 28세에 철학박사 학위를 받고 교수로 재직중인 그는 올해 군에 입대했다. 그는 미국영주권도 있고 나이도 많은 데 왜 입대했냐는 질문을 자주 받는다. 그는 앞으로 남은 인생에 대한  ‘작전타임’을 갖기 위해서라고 대답한다. 
 박 일병은 8세때 선교사 부모와 함께 아프리카 케냐에 갔다. 그는 11년간 운동화 바닥이 닳으면 자동차 타이어 고무조각을 대서 싣는 어려운 생활을 했다. 이후 미국에서 전액장학생으로 선정돼 박사과정을 마쳤다. 그는 교수로서의 안정된 삶을 내려놓고  병역의무를 이행키로 했다. 그는 “많은 이들이 군에서의 시간을 버리는 시간이라고 생각하지만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인생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병무청은 31일 박 일병처럼 병역의무를 이행하지 않아도 되지만 자원 입대한 병사들의 수기집 '대한사람 대한으로 2016’을 발간했다. 
  안형빈(23) 일병은 한국인 아버지와 인도네시아 어머니를 둔 다문화가정출신이다. 그는 인도네시아에서 태어나고 자라 한국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지만 군에 입대했다. 안 일병의 아버지는 수기집에서 “스스로 한국군에 입대하고 싶다고 해 너무 놀랐는데 군 생활을 통해 아버지의 조국이 아들의 조국으로 자리매김한 것을 보고 너무 기뻤다"고 밝혔다.  키가 1㎝ 작아  징병검사에서 4급 보충역으로 받았던 해병대 이덕원(22) 일병은 9개월간 자세교정을 통해 1㎝를 키워 입대했다. 
 병무청은 "이 수기집이 입영을 앞둔 젊은이들에게 병영생활을 위한 소중한 지침서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