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한푼 안들이고 3억7천만원 시세차익?”미분양 낮은 가격 매입 반박

입력 2016-08-30 18:41 수정 2016-08-30 20:59


김한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30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후보자와 관련해 "김 후보자가 지난 2001년 10월 경기 용인 소재 88평(291㎡) 고급아파트를 시세보다 약 2억원 싼 4억 6,000만원에 매입했는데 농협에서 전액 대출을 받아 본인 돈은 한 푼도 안 들어갔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김 후보자는 그 아파트에서 1년 살다가 미국으로 파견 근무를 가게됐는데, 그 집에 국내 굴지의 식품대기업이 전세 임대로 들어왔다"며 "전세금 3억원을 받아 은행 대출금의 일부를 상환했고, 연간 약 2400만원의 대출이자도 절감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김 의원은 김 후보자가 2006년 미국에서 돌아와 해당 아파트를 8억700만원에 매각해 3억7,000만원의 시세 차익을 남겼고, 이 과정에서 본인 돈이 전혀 들어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김 후보자는 당시 농식품부 고위직에 있었는데, 왜 농식품부 관련 국내 대기업의 계열사 아파트를 구입하고 또 하필 그런 집에 대기업이 전세를 들어왔는가"라며 "과연 우연의 일치라고 할 수 있는가"라고 반문했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는 "분양가가 6억 7천만원임에도 4억 6천만원에 매입할 수 있었던 것은(‘01.11.26) 당초 A 건설회사에서 분양하였으나, 미분양이 많았기 때문에 분양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매입했다"며 "또한, 규모도 전용면적이 88평이 아닌, 62평(공급면적 71평)"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매입금액 4억 6천만원 중 4억 5천만원을 농협은행을 통해 대출받을 수 있었던 것은, 당시 동 부동산에 대한 감정 평가액이 5억 7천만원 수준으로 대출은행(농협)에서 감정가의 80% 수준을 대출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해명했다.

 또 "후보자가 매입한 부동산을 CJ에 임차하게 된 경위는, 주미대사관 농무관으로 발령 받아 해외근무를 하게 되어(‘03.2~’07.1) 부동산 중개업소를 통해 동 부동산을 전세를 놓았다(‘04~’06)"라며 "전세입주자의 신상은 잘 모르나, CJ 산하 연구소 간부인 것으로만 알고 있다"라고 했다.

 이어 "당시 해외 근무 중이라 전세계약 등 일체 행위는 대리인(직원)이 수행하였으며, 동 부동산 매입․전세 과정에서 위법․부당한 행위가 일체 없었다"고 주장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