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성 잠꼬대 치료안하면 세명 중 두명 꼴 파킨슨병 발병위험
수면중에 잠고대를 자주하고 이상행동이 보여진다면 파킨슨병이나 치매와 같은 뇌 질환에 걸렸는지 주의할 필요가 있다.
렘수면행동장애는 대개 50대 남성들에서 발생하게 되는데, 보통 기분 나쁘고 폭력적 꿈을 꾸면서 행동으로 그대로 나타나 소리를 지르고 팔다리를 과격하게 휘젓거나 옆에서 자는 사람을 때리거나 주먹으로 벽을 치는 행위를 보인다. 주로 새벽 2~3시 이후 발생한다.
특히, 노년기에 발생하는 렘수면행동장애는 증상 발생 후 5~10년이 지나면 상당수가 파킨슨병 및 치매와 같은 퇴행성 신경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노인들의 경우 잠꼬대가 심하면 파킨슨병 전조 증세로 이해하고 병원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서울수면센터 한진규 연구팀은 노인성 잠꼬대로 내원한 환자 96명을 추적 관찰 한 결과, 65%인 62명의 환자가 치료를 안 할 경우 파킨슨병, 치매로 발전할 수 있는 렘수면 행동장애로 밝혀졌다. 이들 62명 중 76%인 47명은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노인성 수면장애의 경우 단순히 나이로 인한 것이 아니라 다른 내과적 질환이나 만성질환 때문이 아닌지 잘 살펴봐야 한다. 치매나 파킨슨병 같은 퇴행성 뇌질환은 중년 이후의 노인에게서 잘 나타나고 환절기에 잠꼬대나 수면 중 이상 행동 빈도수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잠꼬대와 같은 수면 중 이상행동은 렘수면행동장애가 신경퇴행성 과정의 초기 변화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노년기에는 가볍게 여기지 말고 전문의와 상의하고 수면다원검사를 통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실제로, 해외 연구에 따르면, 12년간 수면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전체의 50% 이상이 치매나 파킨슨병과 같은 노인성 신경질환으로 발전했다고 보고했다.
서울수면센터 한진규 원장은 “파킨슨병 환자는 렘수면 동안 뇌간의 정상적인 운동조절 스위치 기능에 장애가 생겨 잠꼬대를 하게 되는 것인데, 수면다원검사 등을 통해 정확한 진단 후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평소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이 많은 사람은, 렘수면 행동장애로 발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고, 뇌에 산소가 부족해져, 의사 결정과 판단에 관여하는 대뇌백질이 더 많이 손상돼 치료를 안 할 경우 치매나 파킨슨병으로 발전할 위험이 더욱 커질 수 있다. 송병기 기자
‘파킨슨 잠꼬대’ 수면중 이상행동 주의
입력 2016-08-29 1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