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수사도중 유명인사 자살 빈번, 수사로 인한 압박감이 원인

입력 2016-08-26 09:29
검찰 수사도중 자살한 저명인사는 과거에도 종종 있었다. 대부분 검찰 조사로 인한 극도의 압박감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다.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으로부터 금품을 받은 의혹으로 대검 중앙수사부의 조사를 받은 노 전 대통령은 2009년 5월 23일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 때문에 임채진 전 검찰총장과 당시 수사를 진두지휘했던 이인규 전 대검 중수부장이 검찰을 떠났고, 전직 대통령을 자살로 몰고간 무리한 수사라는 지적이 잇달았다.

정몽헌 전 현대아산 이사회 회장은 대북송금과 비자금 조성 의혹으로 대검 중수부 조사를 받은 뒤 2003년 8월 집무실에서 뛰어내려 숨졌다. 2004년 3월에는 노 전 대통령의 형 건평씨에게 인사청탁 대가로 3000만원을 준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은 남상국 전 대우건설 회장은 한강에 투신했다. 그해 4월엔 건강보험공단 재직 시절 납품비리 등 의혹으로 서울남부지검에서 조사를 받은 박태영 전남지사가, 6월엔 전문대 설립 과정에서 뇌물을 받은 혐의로 검찰 내사를 받던 이준원 파주시장이 한강에서 투신해 숨졌다.

 2005년에는 국정원 도청 사건으로 검찰 조사를 받은 이수일 전 국정원 2차장이 집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공기업에 대한 검찰 수사가 한창이던 2008년 10월에는 김영철 전 국무총리실 사무차장이 자신의 집에서 목을 숨진 채 발견됐다.

 지난해 4월에는 해외자원개발 비리 의혹으로 검찰 수사를 받던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55자 금품 메모’를 남기고 목숨을 끊었다.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에는 현 정부 유력 정치인 8명의 이름과 금액이 적혀 있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