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가뭄대책에 쓰도록 특별교부세 69억원을 긴급 지원한다. 상수도 확충사업에도 477억원을 추가 지원한다.
국민안전처는 일부 지역에서 가뭄 징후가 나타남에 따라 25일 농수산식품부, 환경부 등 관계기관과 지방자치단체 합동으로 긴급 가뭄대책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밭작물 피해가 우려됨에 따라 소형관정 등 가뭄대책비 425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24일부터 농업재해대책상황실을 확대 운영해 지역별 강수·저수 현황 등 상황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해 가뭄 발생지역을 대상으로 상수도 확충사업을 추진하도록 37개 시·군에 514억원을 교부했고 477억원을 추가 지원할 예정이다.
안전처는 관정개발, 저수지 준설 등 가뭄대책에 필요한 사업에 투입될 수 있도록 특별교부세 69억원을 긴급 지원한다.
국토부는 보령댐 주의단계 긴축운영 시행을 의결하고 생활·공업용수와 농업용수는 정상 공급하지만 하천유지용수는 탄력적으로 조정해 공급하기로 했다.
정부는 또 안전처 주관 하에 격주로 진행해 온 ‘가뭄대비 관계부처 합동TF 점검회의’를 매주 개최할 계획이다.
이날 대책회의에는 안전처, 농식품부, 환경부, 국토부, 기상청, 수자원공사, 농어촌공사, 17개 시·도가 참여했다.
김희겸 안전처 재난관리실장은 “최근 적은 강수량과 폭렴 등 기상상황의 영향으로 일부지역에서 가뭄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며 “관계부처, 지자체와 협력해 지난해와 같은 가뭄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안전처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지난 23일까지 강수량은 778.5㎜로 평년(947.0㎜)의 82% 수준이다. 지난 8월 초 기상예측에서 8월에 평년(182.6㎜)보다 많은 강수량이 전망됐지만 실제로는 평년의 15% 수준인 27.4㎜밖에 비가 내리지 않았다.
저수지 담수율은 50%로 평년(79%)의 63% 수준이고 다목적댐 저수율은 48.9%로 평년(55.4%)의 90% 수준이다.
지난해 극심한 가뭄의 영향으로 올해는 상반기에 저주시 준설, 제한 방류 등을 통해 저수지와 댐의 저수량을 높여온 덕분에 저수율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높게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폭염이 지속되면서 전남 신안, 경남 남해 등 일부 도서·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논마름 현상이 6469㏊에서 발생했고, 전북 완주·부안 등에서는 밭작물 시들음 현상이 2만861㏊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가뭄 대비 특별교부세 69억원 지원 등…정부, 가뭄대책 추진
입력 2016-08-25 1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