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이정현 체제’ 출범 후 첫 고위 당정청 회의가 25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개최됐다. 참석자들은 한 목소리로 ‘당정청 운명공동체’를 강조하며 박근혜정부 성공과 민생을 외쳤다. 여권 수뇌부가 모두 모였지만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조선·해운 산업 구조조정 청문회(일명 ‘서별관회의’ 청문회) 등 민감한 현안은 테이블에 오르지 못했다.
이날 회의는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공관이 아닌 여의도 당사에서 진행됐다는 점부터 주목받았다. 시간도 오전 7시30분부터 시작됐다. 친박(친박근혜)계가 지도부를 장악하면서 ‘당이 청와대에 끌려간다’는 당 안팎의 우려를 불식하고, 민생 행보에 ‘올인’하는 이정현 대표 리더십을 세워주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이 대표는 “정진석 원내대표의 제안으로 근래 들어 처음 중앙당사에서 고위 당정청 회의를 갖게 돼 매우 의미 있게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참석자들은 모두 ‘당정청 한 몸’을 강조했다. 이 대표는 “여기서(당사에서) 지난 대선 기획과 회의가 이뤄졌고, 당시 우리가 집권하면 오랫동안 쌓인 비정상을 정상으로 돌려 반듯한 나라를 만들겠다는 다짐을 했다”며 “총리와 국무위원, 대통령 비서실장을 포함한 청와대 수석들이 와 계신데, 삼각 축으로 공동책임의식을 갖고 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른 참석자들도 “당과 정부는 국정 운용의 성과와 책임을 공유하는 무한 책임 공동체”(황교안 국무총리) “이정현 체제 출범 이후 첫 회의가 새로운 희망의 신호탄”(이원종 대통령 비서실장) “당정청이 최강의 팀워크를 이뤄 올코트프레싱(농구에서의 전면 압박)을 해야 겠다”(정 원내대표) 등 당정청 화합을 강조하는 목소리를 쏟아냈다.
정 원내대표는 “지금 국회는 여소야대”라며 “야당이 불통의 대상이라 생각하면 아무 일도 안 된다. 야당과 더욱 소통해 달라”고 당부도 했다.
당정청은 추석을 앞두고 농수축산물 10개 품목의 가격을 안정시키고, 기획재정부·노동부를 중심으로 임금 체불과 영세 중소 상공인의 자금난 여부를 확인키로 했다. 정기국회에서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규제 완화를 위한 주요 법안도 반드시 처리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외래 진료를 받는 65세 이상 노인에게 적용되는 ‘노인외래정액제’ 본인 부담률 완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