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지원금은 현행 셋째아 이상 각 50만원 지원에서 둘째아 이상 출산시 둘째 100만원, 셋째 200만원, 넷째이상 300만원을 지급한다.
필요예산은 3199명 기준으로 38억5000만원 규모로 수도권 최상위 수준이다. 둘째아는 2577명 25억7000만원, 셋째아는 577명 11억5000만원, 넷째아 이상은 45명 1억3000만원으로 추산된다.
아기탄생 축하 출산용품은 10만원 수준에서 지원한다. 필요예산은 6500명 기준으로 6억5000만원 수준이다.
특히 5일 이상 입원 시 소득과 무관하게 가사지원서비스를 지원하고, 임산부 및 다자녀가정 가구원에게는 무료독감예방 접종도 실시하기로 했다.
또 초등학생 치과주치의 사업을 통해 영구치가 완성되는 초등학교 4학년 전체학생을 대상으로 맞춤형 구강검진 및 질환 치료에 나서기로 했다.
이와 함께 20% 수준에서 다자녀 부천 장학생선발도 하고, 부업 대학생 선발 시 가산점을 부여해 50%가량의 쿼터제를 운영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시는 부시장 직속 ‘인구정책추진단’을 오는 9월 1일 구성한다.
이를 통해 시는 전국 평균에 밑도는 낮은 출산율에 적극 대응하기로 했다. 부천시 출산율은 1.09명으로 전국 1.21명(2014년 기준)보다 낮다.
이 때문에 부천시의 출산율은 전국 226개 지자체 중 177위, 경기도 31개 시·군 중 29위에 머물러 있다.
이같은 결과로 부천의 인구눈 2010년 89만875명에서 지난해 86만9165명으로 2만1710명이 감소했다.
김만수 부천시장은 "저출산 위기에 대응하는 정책지원의 필요성 대두됨에 따라 임신 및 출산·육아·다자녀 키우기 획기적 개선을 위한 '아기환영 부천'정책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행정혁신(구청폐지)으로 절감된 예산을 활용해 ‘아기환영정책’에 지원하는 등 직·간접 지원정책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시는 지난달 4일 전국 최초로 구청을 폐지하고, 복지를 전담하는 행정복지센터를 출범시킨 바 있다.
기존 3개 구청 운영비는 연간 40억원가량이 절감될 것으로 추산된다.
시는 직접지원 정책은 구청폐지 절감예산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 시는 향후 5년간 30곳의 국·공립 어린이집을 확충하고, 보육시설 환경 개선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또 아동학대 예방차원에서 마을이 함께 키우는 육아 나눔터를 올해 3곳에서 2018년 7곳으로 확대하는 등 육아품앗이 공간을 제공하기로 했다.
시는 모든 아가에게 북스타트 서비스를 통해 3만원 상당의 책꾸러미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밖에 시는 다자녀 공영주차장 전용 주차구역 설치 및 이용료 감면, 다자녀 공공시설 이용료 면제 및 감면, 다자녀를 위한 문화공연 및 관람쿠폰 지급, 다자녀가정 쓰레기종량제봉투 무상 지원 등의 혜택도 제공한다.
시는 내년 1월 정식기구를 신설해 장기적이고 일관된 정책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시는 오는 9월 중순까지 정책자문 및 시민 설문 등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다음달말까지 조례 제(개)정 및 예산을 통해 사업이 선순환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