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지난 4월 중국 내 북한식당 종업원 13명의 탈북 이후 북·중 접경지역에 테러단 파견을 지시했다고 우리 정부가 공식 확인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21일 “(김 위원장은) 식당 종업원 집단 귀순에 대해 북·중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테러단을 파견토록 지시해 우리 국민에 대한 위해를 시도했다”고 밝혔다.
북한 당국이 종업원 탈북에 대한 ‘보복 조치’로서 북·중 접경지역에서 우리 국민을 납치하도록 지시했다는 설은 많았으나 정부 차원에서 이를 확인한 건 처음이다.
정부는 또 태영호 북한 공사의 탈북과 22일부터 시작되는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을 계기로 북한이 보복성 도발에 나설 수 있다고 내다봤다. 특히 북한은 지난 20일 태 공사 탈북 이후 처음으로 조선중앙통신사 논평을 통해 그를 ‘범죄자’ ‘인간쓰레기’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은 엘리트 탈북 시 남측의 납치로 왜곡하면서 범죄자로 모략·비난하고 보복 조치를 공개 위협해왔다”면서 “북한 공작기관들은 고위급 탈북민 및 반북 활동을 전개하는 주요 탈북민들을 제거할 목적으로 실제 테러를 감행한 사례도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 당국자는 “북한은 앞으로 북한 주민들의 동요를 차단하고 추가 탈북 방지, 대남 국면전환을 위해 여러 시도를 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면서 “예상되는 보복조치로는 주요 탈북민 위해, 해외 공관원·교민 납치, 반북 인권활동가 암살, 사이버 테러 등일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