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증명된 '우병우 파워'…민정수석 수난사도 피해가나

입력 2016-08-20 06:40

청와대가 우병우 민정수석에 대해 검찰 수사를 의뢰한 이석수 특별감찰관에 대해 작심하고 공격한 배경을 놓고 정치권의 설왕설래가 한창이다. 청와대가 '우병우 구하기'라는 비난여론을 감수할 만큼 이 감찰관의 수사 의뢰를 '대통령 흔들기'로 판단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다. 하지만 무리수라는 비판을 감수할 만큼 우 수석이 박근혜 대통령의 측근 중 핵심이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일부에서 제기된다. 우 수석이 박근혜정부 청와대 민정수석 중 가장 오랫동안 자리를 지켰다는 점, 우 수석에 대한 박 대통령의 믿음이 각별하다는 점 등이 이같은 주장의 근거다. 
 20일 여권에 따르면 우 수석은 2014년 5월 민정비서관으로 청와대에 들어간 뒤 지난해 2월 민정수석으로 승진했다. 1년 6개월 가량 근무한 것으로, 이번 정부에서 가장 재임기간이 긴 민정수석이다.
 이전 수석들 3명은 모두 1년의 임기도 다 채우지 못하고 자리에서 물러났다. 곽상도 초대 민정수석(현 새누리당 의원)은 인사검증 실패 책임을 지고 2013년 8월 6개월 만에 직을 내려놨다. 정부출범 초기 장관 후보들이 잇달아 낙마하면서 문제가 제기됐고,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성 접대 연루 의혹까지 터지면서 결정타를 맞았다.
 후임인 홍경식 전 민정수석 역시 안대희 전 대법관 등 국무총리 후보자 낙마 사태로 부실검증 책임을 지고 2014년 6월 자리에서 떠났다. 임명 10개월 만이다. 당시 여권에서는 홍 전 수석 교체가 ‘정윤회 문건 유출 파문’에 대한 경질 성격이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됐다.
 우 수석 전임인 김영한 전 민정수석은 정윤회 문건 유출 파문 ‘후폭풍’으로 7개월 만에 퇴진했다. 야당은 지난해 1월 김 전 수석에게 국회 운영위원위 출석을 요구했고, 김기춘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도 이를 지시했다. 그러나 김 전 수석은 비서실장 지시에 따르지 않고 사표를 냈다. 그는 “민정수석이 국회에 출석하지 않는 것이 관행으로 정착됐는데, 정치공세에 굴복해 나쁜 선례를 남기지 않기 위해 출석하지 않겠다”고 했었다. 그러나 정치권에서는 김 실장이 당시 민정비서관이던 우 수석과 주요 일을 상의하면서 김 전 수석이 상당기간 업무에서 배제돼 불만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말도 나왔다.
 언론의 의혹 제기, 야당의 교체 압박이 계속될 때에도 ‘여론 압박에 밀린 교체는 없다’는 취지의 언급을 해왔다는 점에서 박 대통령의 우 수석에 대한 신임은 각별하다. 하지만 우 수석이 현직 신분을 유지하면서 검찰조사를 받는 상황에 대한 부담은 여전히 크다. 공정성 시비가 일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앞서 2011년 이명박정부 당시 김두우 청와대 홍보수석은 저축은행 로비 의혹으로 검찰 출석 통보를 받자 “현직 신분으로 검찰조사를 받는 것 자체가 대통령을 모시는 도리가 아니다”며 사의를 표명한 바 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