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안중근 의사 순국장소를 잘못 언급했다. 청와대는 박 대통령의 연설 뒤 해당 단어를 정정했다.
박 대통령은 15일 서울시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정부 주최로 열린 제71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안중근 의사께서는 차디찬 하얼빈의 감옥에서 ‘천국에 가서도 우리나라의 회복을 위해 힘쓸 것’이라는 유언을 남기셨다”고 말했다.
논란이 된 부분은 안 의사가 유언을 남긴 장소 부분이다. 안중근 의사는 1909년 10월 26일 당시 러시아 영토였던 하얼빈 기차역에서 일본의 초대 조선 통감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했다.
안 의사는 현장에서 체포돼 중국의 뤼순 감옥으로 옮겨져 다음해 3월 26일 순국했다. 박대통령이 인용한 안중근 의사의 유언도 뤼순감옥에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의 발언을 두고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서는 네티즌들의 논란이 이어졌다. 네티즌들은 "박근혜 대통령이 안중근 의사가 갇힌 장소를 몰랐던 것인가?” 아니면 “원고(광복절 경축사)를 작성한 책임자가 안중근 의사와 관련해 잘못 작성한 원고를 박근혜 대통령에게 전달한 것인가?”를 두고 비판을 쏟아냈다.
이와함께 더불어 민주당 기동민 원내대변인은 15일 서명 브리핑을 통해 "71주년 광복절, 대통령이 보낸 순국선열에 대한 경의도 퇴색될 수밖에 없다"며 "단순한 실수일 수도 있지만 건국절 주장, 굴욕적인 한일 위안부 합의 등 현 정부의 그릇된 역사인식과 겹쳐져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기 대변인은 또한 "우리나라를 선도국가로 만드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대통령이 언급한 규제개혁, 창조경제가 아니라 우리 과거에 대한 바람직한 역사인식"이라고 꼬집었다.
정의당 한창민 대변인도 “역사적 인식도 새로운 전망도 없는 공허한 외침은 영혼 없는 박수만 남겼다”고 비판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달 7일, 제10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도 실패한 ‘쥐덫’ 사례를 성공 사례로 잘못 설명해 구설에 오르기도 했다.
한편, 청와대는 논란이 일자 뒤늦게 정정하고 나섰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이날 경축식 뒤 “대통령 말씀 가운데 정정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서 차디찬 하얼빈 감옥이라고 했는데 ‘뤼순 감옥’이다“며 정중히 사과했다.
박효진 기자 imher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