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15일 “할 수 있다는 신념과 긍지를 토대로 우리 앞에 놓여 있는 변화화 개혁의 과제를 완수해 내고 다시 한번 힘차게 도약의 미래로 나아가자”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제71주년 광복절 경축식이 열린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경축사를 통해 “모두가 스스로 가진 것을 조금씩 내려놓고 어려운 시기에 콩 한쪽도 서로 나누며 이겨내는 건강한 공동체 문화를 만들어 간다면 한 차원 높은 도약을 이뤄낼 수 있다고 확신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은 특히 “대한민국이 광복의 역사를 만들고 오늘날의 번영을 이룬 것은 결코 우연히 된 것이 아니었다”며 “식민통치 36년의 고통과 설움의 긴 세월 동안 우리 민족은 가혹한 수탈에도 광복의 희망을 잃지 않았고, 나라를 되찾기 위해 목숨을 걸고 싸웠다”고 했다.
그러면서 “안중근 의사께서는 차디찬 뤼순의 감옥에서 ‘천국에 가서도 우리나라의 회복을 위해 힘쓸 것’이라는 유언을 남기셨다”고 했고 “윤봉길 의사께서는 ‘부모의 사랑보다, 형제의 사랑보다, 처자의 사랑보다도 강인한 나라와 겨레에 바치는 뜨거운 사랑을 따르기로 결심하였다’는 결사의 각오를 전하셨다”고 강조했다. 이어 “두려운 죽음 앞에서도 애국 열사들이 그토록 초연할 수 있었던 것은 오로지 빼앗긴 나라를 되찾아 후손에게 물려주겠다는 간절함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언제부터인지 우리 내부에서는 대한민국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잘못된 풍조가 퍼져가고 있다”며 “우리의 위대한 현대사를 부정하고, 세계가 부러워하는 우리나라를 살기 힘든 곳으로 비하하는 신조어들이 확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법을 불신하고 경시하는 풍조 속에 떼법 문화가 만연하면서 사회적 비용이 증가되고, 대외 경쟁력까지 실추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자기비하와 비관, 불신과 증오는 결코 변화와 발전의 동력이 될 수 없다”며 “그것은 우리 스스로를 묶어버리고, 우리 사회를 무너뜨리게 할 뿐”이라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이제 다시 대한민국 발전의 원동력이었던 도전과 진취, 긍정의 정신을 되살려야 한다”며 “모든 것은 마음에서부터 시작된다. ‘할 수 있다’는 용기와 자신감을 갖고, ‘함께 가는’ 공동체 의식으로 함께 노력하면 우리는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