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1일 대구공항 이전 방식과 관련해 군공항(K-2)과 민간공항을 통합 동시 이전하되, 군공항은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민간공항은 국토교통부(공항공사) 사업으로 추진키로 했다. 이전 후보지는 올해 안으로 선정·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석준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대구공항 통합이전 TF(태스크포스)' 3차 회의를 갖고 대구공항 통합 이전 사업의 방식과 일정 등을 확정했다.
정부는 군공항은 '군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군공항이전특별법)에 따라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이는 사업 시행자가 이전 지역에 군공항 대체 시설을 건설·기부하고, 국방부는 용도 폐지된 종전 시설과 부지 등을 사업 시행자에게 양여하는 방식이다.
정부는 이번 달 안으로 대구시에서 제출한 이전 건의서의 타당성을 평가하고, 예비이전후보지 조사 용역에 착수할 예정이다. 이후 관련 지자체와의 협의를 통해 이전 주변 지역 지원계획을 수립하고, '이전부지선정위원회' 심의 등 군공항이전특별법에서 정한 절차에 따라 최종 부지를 조속히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정부는 군공항 이전을 희망하고 있는 수원, 광주 등 다른 지역에 대한 사업도 신속히 추진키로 했다.
수원은 이미 이전 건의서에 대한 타당성 평가가 완료된 상태로, 국방부가 이른 시일 내에 예비이전후보지 선정을 위한 지자체와의 협의에 들어갈 예정이다. 광주의 경우 지난 4일 이전 건의서 평가를 마친 만큼, 최종 승인 여부 결정에 따라 향후 절차를 신속히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