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공항 7월 여객수가 개항 40년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부산시는 김해공항의 7월 여객수가 국제선 72만7000명, 국내선 56만9000명으로 총 129만6000명을 달성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1976년 8월 김해공항 개항이후 월간 여객으로는 역대 최대실적으로 지난해 7월에 비해 39.9%(국제 63.6%, 국내 18%) 증가한 것이다.
김해공항은 인천공항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국제선 비중이 국내선보다 높은 공항으로서 대한민국의 제2관문공항으로서 위상이 점차 확고해지고 있다.
김해공항은 2004년 경부선 KTX 개통 이후 월간 여객이 50만명 수준까지 줄었다가 2008년 저비용항공사 설립과 함께 국제 노선이 늘어나면서 꾸준히 여객이 증가했다.
국제선 신·증설이 많았던 2014년부터는 월간 여객이 90만명으로 급증하기 시작해 지난해 월평균 100만명에서 올 들어 120만명 수준으로 여객 증가폭이 더 커지고 있다.
최근의 여객 증가는 저유가로 유류할증료가 인하되면서 요금이 저렴해졌고, 일본 도쿄 및 몽골 울란바토르(에어부산), 대만 타이페이(대한항공), 대양주 괌(진에어) 등 인기 있는 목적지 중심으로 항공사의 노선 신·증편이 이어져 이용자의 선택의 폭이 늘어나면서 국제선 여객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국제선 지역별 여객은 대양주 108%,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55%, 일본 49%, 동남아 33% 등 전 노선에서 20% 이상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김해공항 누적(1~7월) 여객은 853만여명(국제 464만, 국내 389만)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675만여명(국제 340만, 국내 335만)에 비해 26.5%가 증가하는 등 여객증가율에서도 전국 1위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이 같은 증가세라면 여객수가 2014년 1038만명, 지난해 1238만명으로 2년 연속 최대 여객 기록을 경신한데 이어 올해는 무난히 1500만명을 돌파하며 다시 한번 최대 여객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김해공항의 가파른 여객증가로 이용객의 불편은 점차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하계 휴가철 여행객이 몰리면서 수속 및 대기시간이 1시간 이상 걸리는 바람에 이용객들이 불편을 겪었고 주차장 부족과 터미널내 여객 대기공간이 부족 등으로 짜증을 더했다.
이 같은 문제는 오는 2026년 김해신공항 개항때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돼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부산시 송종홍 공항기획과장은 “최근 김해공항의 여객증가세는 정부의 예측보다 훨씬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공항의 주된 수요자인 항공사와 시민들이 공항 이용에 따른 불편이 점차 가중되고 있는 만큼 신공항의 조기 완공을 정부에 요청하고 관계기관과 협의를 통해 종합적인 여객 수용방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김해공항 7월 여객수 개항 40년만에 최다 기록
입력 2016-08-11 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