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의 자금이 민유성(62) 전 산업은행장 가족 소유의 부동산임대 업체로 유입된 정황이 포착됐다. 검찰은 남상태(66·구속기소) 전 대우조선 사장의 연임 로비 등과 연결된 자금이 여러 단계를 거쳐 민 전 행장 측에 흘러간 것으로 의심하고 전방위 자금 추적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은 민 전 행장과 부인 정모(60)씨 및 정씨가 대표로 있는 부동산업체 J사 등의 금융거래내역을 광범위하게 쫓고 있다. 시중 금융기관에 2006년 이후 10년 간의 계좌 정보 일체와 귀중품과 문서 등을 포함하는 대여금고, 보호예수 현황 등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본금 13억6900만원으로 등록된 J사는 민 전 행장 내외와 두 딸이 전·현직 등기이사로 돼 있는 사실상의 민 전 행장 가족 회사다. 2001년부터 경영에 관여했다. 민 전 행장의 산업은행장 취임 3개월 뒤인 2008년 9월 기존 주식회사 조직을 해산하고 외부 감사를 받지 않는 유한회사로 법인 형태를 바꿨다. J사는 서류상으로만 존재하는 ‘유령회사’일 개연성이 높아 보인다. J사의 등기부상 본점 주소지인 서울 대치동 한 상가 점포에는 현재 만두가게가 입점해 있다. 매출 규모나 직원 수 등에 대한 자료는 찾지 못했다. 검찰은 J사가 민 전 행장의 자금세탁 통로 내지 비자금 은닉처로 활용됐을 가능성도 주목하고 있다.
검찰은 민 전 행장과 남 전 사장 간의 연결고리로 홍보대행업체 N사 대표 박모(58·여)씨를 지목한 상태다. 이들의 유착 증거 확보를 위해 지난 8일 변호사법 위반과 특경가법상 알선수재 혐의로 박씨의 자택·사무실을 압수수색 했다. 동시에 대우조선이 2009~2011년 홍보 관련 업무비 명목으로 N사에 지급한 20억원대 자금 등이 J사를 비롯해 민 전 행장 측으로 흘러갔는지 추적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검찰은 조만간 박씨를 불러 구체적인 사실 관계를 확인할 계획이다. 수사 경과에 따라 민 전 행장 이외의 이명박 정부 유력 인사들로까지 수사가 번져나갈 수도 있다.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10일 “(J사 수사 관련 사안은) 현 단계에서 특별히 확인해 줄 내용이 없다”고 말했다.
민 전 행장은 출국금지 된 상태에서 국내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일보는 민 전 행장의 입장을 듣기 위해 전화통화를 시도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았다.
노용택 양민철 기자 nyt@kmib.co.kr
[단독] 대우조선 돈, 민유성 가족회사에 유입 정황
입력 2016-08-10 17:30 수정 2016-08-10 1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