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생활악취·소음 문제 해소에 팔 걷고 나섰다

입력 2016-08-08 17:07
연일 계속되는 폭염이 짜증을 유발하지만 생활 악취와 소음도 시민들에게는 여간 고역이 아니다. 여름철 불쾌지수를 높이는 악취와 소음 피해를 줄이기 위해 서울시가 팔을 걷고 나섰다.

시는 하수악취를 개선하기 위해 정화조에 악취저감시설(공기공급장치) 1100여개를 설치하고 횡단보도나 버스정류장 주위에 설치돼 악취를 발생시키는 빗물받이 980여개를 이설했다고 8일 밝혔다.

정화조와 하수관로에서 발생하는 하수악취는 악취 민원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지난해 서울시에 접수된 악취 민원 3572건 가운데 86.6%인 3095건이 하수악취로 인한 것이었다.

시는 또 민원현장에 출동해 악취로 인한 갈등을 완화하고 해결하는 하수도주치의 12명을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전체 악취 민원의 13.2%를 차지하는 생활악취를 해결하기 위한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인쇄·도장·세탁 등 업종별로 악취관리매뉴얼을 마련하고 소규모 사업장에 악취방지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비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하절기를 맞아 쓰레기적환장, 인쇄·도장시설 등 악취발생 사업장 1300곳에 대한 자치구 등과 함께 집중 점검에 나섰다. 악취배출 기준초과가 의심되는 사업장에 대해서는 서울시보거환경연구원에 악취검사를 의뢰하고 기준초과 시 개선권고와 이행명령을 내리도록 했다.

시는 또 공사장 소음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상시모니터링 시스템을 운영하고 공사 시 방음벽 설치, 저소음 건설기계 사용 등 소음 저감에 효과적인 사례를 적용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또 생활불편민원해결사 30명이 지난 1일부터 오는 25일까지 소음민원이 우려되는 셀프세차장 62곳을 대상으로 민원상담과 컨설팅을 실시한다.

시는 또 악취와 소음 등 생활공해로 인한 시민들 간 갈등을 신속하고 공정하게 조정하기 위해 환경분쟁조정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시는 악취, 소음 등의 생활공해를 근절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책적 노력과 함께 서로 이웃을 배려하는 공동주거문화 조성이 필요하다며 시민실천 캠페인과 홍보도 실시할 계획이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