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이행보고서를 제출한 국가 수가 2013년 3차 핵실험 때보다 2배 이상 늘어난 41개국으로 파악됐다.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3일 “북한의 4차 핵실험 등에 대한 조치로 지난 3월 채택된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2270호의 후속조치로 지난 2일까지 이행보고서를 제출한 국가는 총 41개국으로 확인돼 2013년 같은 기간 집계된 18개국보다 23개국이 늘어났다”고 보도했다.
안보리가 2일까지 공개한 36개국의 보고서 분량을 분석한 결과 총 157페이지, 국가별 평균 4.3페이지로 2013년의 국가별 평균 3.8페이지보다 분량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눈에 띄는 변화는 전통적으로 북한 우방국들이 많은 아프리카와 동남아 국가들이 대거 참여한 점이라고 VOA는 지적했다.
이밖에 공개된 이행보고서를 통해 몽골 정부가 북한 선박에 자국 깃발을 달고 운항하도록 하는 이른바 ‘편의치적’ 방식에 대한 허가를 취소한 사실도 전해졌다. 그간 14척의 북한 선박에 편의치적을 허용했던 몽골 정부가 등록을 모두 취소하면서 이행보고서 제출 시점을 기준으로 몽골 깃발을 단 북한 선박은 한 척도 없다는 것이 확인됐다고 VOA는 전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
“대북제재보고서 41개국 제출, 몽골 ‘편의치적’ 북한 선박 14척 등록취소"
입력 2016-08-03 1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