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비리 연루 의혹 강만수는 누구?…MB정부 '경제 책사'

입력 2016-08-02 18:48

대우조선해양 비리를 수사 중인 검찰이 이명박 정부 당시 실세였던 강만수 전 산업은행장의 개인 비리 혐의를 포착하고 본격 수사에 나섰다.

대검찰청 부패범죄특별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은 2일 강 전 회장의 서울 사무실 및 주거지를 압수수색했다고 밝혔다.

검찰의 새로운 수사 대상으로 지목된 강 전 회장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MB 정권의 실세로 불렸다.

1969년 서울대를 졸업하고 이듬해 행정고시에 합격한 강 전 회장은 경제 관료로 성장하며 이 전 대통령과 인연을 맺었다.

특히 이 전 대통령과 소망교회를 함께 다니면서 돈독한 정을 쌓은 그는 이 전 대통령이 서울시장 재임 중이던 2005년 제9대 서울시정개발연구원장을 맡아 본격적인 경제 책사 역할을 시작했다.

대선 과정에서 일류국가비전위원회 부위원장 겸 정책조정실장으로 임명된 강 전 회장은 '7·4·7 구상'과 '4대강 사업' 등 이명박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를 구상해냈다.

이 전 대통령이 선거에서 승리한 뒤 MB 정권의 실세로 우뚝 선 강 전 회장은 대통령직인수위 경제 1분과 간사를 거쳐 2008년 기획재정부 장관 자리에 올랐다.

2009년 개각 때 기재부 장관에서 물러난 그는 이후 대통령실 경제특별보좌관,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위원장 등을 거쳐 2011년 산은금융그룹 회장 겸 산업은행장으로 부임했다.

강 전 회장은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 후 국정철학에 맞는 인사를 주요 기관장으로 선임해야 한다며 임기가 1년 남은 2013년 4월 산은 회장직에서 사임했다.

특별수사단은 강 전 회장이 산은 재임 시절 대우조선해양에 영향력을 행사, 특정 업체에 일감을 몰아준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관련 특별수사단은 호남과 영남의 중소 건설업체와 바이오 업체 2곳도 압수수색하고 있다.

한편 강 전 회장을 포함한 전직 회장으로 수사의 칼날이 향하면서 산은으로까지 관리 책임 압박이 가해질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산은 관계자는 "검찰 수사는 전직 회장들 개인 비리에 관한 것으로, 산은 전체의 구조조정이나 관리 시스템과는 크게 연관이 있다고 보지 않는다"며 "만약 앞으로 산은이 검찰 수사를 받아야 할 있이 생긴다면 적극적으로 협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시스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