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사회복지예산 전년比 5.9%↑…사회복지공무원 9%↑

입력 2016-07-31 13:08
지난해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은 49조5000억원으로 전년대비 5.9%, 사회복지공무원도 전년 대비 9.0%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자치부가 31일 발간한 ‘2016 행정자치통계연보’에 따르면 올해 지방자치단체 예산은 184조6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6.5%(11조3000억원) 증가했다.

이 가운데 사회복지예산이 전년보다 5.7%(2조5446억원) 늘어난 25.3%(46조6075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인력운영비 13.2%(24조3475억원), 환경보호 9.8%(18조1578억원)순이었다.

광역자치단체 중에서 서울시(83.0%)를 제외하고 울산이 63.8%로 가장 높았고, 전남이 18.4%로 가장 낮았다. 기초자치단체 중에서 서울 중구가 65.2%로 가장 높고, 경북 봉화군이 9.6%로 가장 낮았다.

재정집행 자율권의 측정 지표인 재정자주도는 전국 평균 74.2%로 전년 대비 0.8% 향상됐다. 광역자치단체 중에서 서울(83.7%)을 제외하고 인천이 70.8%로 가장 높고 전남이 33.7%로 가장 낮았다. 기초지자체 중에서는 경기 과천이 87.1%로 가장 높았고, 광주 북구가 28.3%로 가장 낮았다.

주민1인당 사회복지예산(일반+특별회계, 총계예산 기준)은 전국 평균 148만원이었다. 시·도별 평균은 전남이 22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세종이 94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또 올해 지자체 사회복지예산은 49조5197억원으로 전년 대비 5.9%(2조7633억원) 증가했다. 2011년과 비교하면 사회복지예산은 62.5%(19조483억원) 늘었는데 전체 예산 증가율 30.9%(43조5432억원)보다 2배가량 증가율이 컸다.

이종구 기자 jg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