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이 최근 북중 무역 활성화를 목적으로 인터넷 메신저 ‘새별’을 개발하고, 외화벌이 회사에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고 북한전문매체인 데일리NK가 29일 보도했다.
인터넷 검색은 엄격히 차단하면서 메신저 사용 허용도 무역부에서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한 소식통은 29일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최근 우리(북한)가 자체 개발했다는 ‘새별’이라는 대화창(메신저)을 무역회사들이 사용하고 있다”면서 “이들은 이 프로그람(프로그램)을 통해 중국에 나가 있는 사람과 글자로 대화도 하면서 사진과 문서·녹음 파일 등을 전송하고 있다”고 전했다.
소식통은 이어 “이 ‘새별’ 대화창을 일반 주민들은 절대 사용할 수 없고, 무역 회사들도 관련 활동에 대한 정보 교류 대화만 할 수 있다”면서 “또한 대화창만 사용할 수 있고 외부 인터네트(인터넷) 접속은 철저히 차단되어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랴오닝(遙寧)성 단둥(丹東)에 나와 있는 북한 무역 간부도 ‘인터네트 개방이 사실이냐’는 물음에 “말도 안 되는 소리이고, 외부 영화도 못 보게 하는 판국에 그런 일을 벌일 수 있겠느냐”라고 반문하면서 “외화벌이 회사만 ‘새별’ 대화창에 한해 인터네트를 사용하고 있고, 그것도 무역부와 보위부에 신청서를 내고 허가를 받아야 접속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무역 간부는 “기존에는 중국 상주대표들과 국제전화로 활동을 보고 받고 수출입 상품을 논하였지만, 정보를 공유하고 전달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며 “하지만 이제는 대화창으로 국제시장 물가는 물론, 상품 사진을 시시각각 주고받을 수 있어 무역활동이 한결 수월해졌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그는 “최근에는 평양과 단동, 베이징 무역회사들 간에 대화창이 연결되어 무역 관련 시장정보를 빠르게 전달하고 있다”면서 “(대북) 제재로 조금 주눅 들었던 무역이 힘을 받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