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이 7월 넷째 주(26~28일) 전국 성인 1004명에게 가구 내 에어컨 보유 여부를 물은 결과 80%가 '있다'고 답했다. 우리나라의 가구 내 에어컨 보유율은 1993년 6%, 1996년 14%, 1998년 24%, 2001년 36% 등 1990년대 급격히 증가했고, 2012년 74%에서 이후 4년간 6%포인트 더 늘었다.
가구 내 에어컨 보유율을 연령별로 보면 20대부터 40대까지는 약 85%, 50대는 79%, 60대 이상은 69%로 고령층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지역별로는 전국에서 가장 더운 곳으로 알려진 대구·경북이 92%로 가장 높았고, 광주·전라는 69%로 가장 낮았으며 그 외 지역은 모두 80% 내외로 비슷했다.
가구 내 에어컨 보유자 805명에게 최근 한 달간 집에 있는 에어컨 사용 여부를 물은 결과, 81%가 사용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최근 한 달간 에어컨 사용률은 20~50대에서 85% 내외인 반면 60대 이상에서는 64%로 낮은 편이었다.
이른 더위에도 불구하고 고령층의 에어컨 사용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로는 냉기가 퇴행성 관절염이나 호흡기 질환에 좋지 않은 점, 전기비 걱정 등을 들 수 있다. 20년 전인 1996년 가구 내 보유율이 14%에 불과했던 에어컨은 당시 일종의 사치품으로 인식됐고, 요즘 신형 에어컨에 비하면 에너지 소비 효율도 매우 낮았다.
가구 내 에어컨 보유자 805명에게 집에 있는 에어컨 사용 시 실내 설정 온도를 물은 결과(자유응답) '18도' 4%, '19도' 1%, '20도' 1%, '21도' 3%, '22도' 6%, '23도' 8%, '24도' 13%, '25도' 20%, '26도' 15%, '27도' 12%, '28도' 3% 등으로 나타났고 10%는 응답을 유보했다.
정부가 권장하는 여름철 실내 온도인 '26~28도'로 설정하는 경우는 30%, 가장 많이 응답된 온도는 '25도'(20%)다. 전체 평균은 24.4도로 집계돼, 에어컨 사용자의 실제 설정 온도는 정부 권장 기준보다 약간 낮다고 볼 수 있다.
가구 내 에어컨 설정 온도를 연령별로 보면, 20대의 32%가 '22도 이하'로 답해 저온 설정 경향이 두드러졌고 다른 연령대는 대체로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전국 성인 1,004명에게 집이나 직장 등에서 에어컨 냉방으로 인한 건강상 문제 경험 여부를 물은 결과 14%가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냉방 문제 경험률을 성/연령별로 보면 20대는 남녀(15%, 16%)가 비슷하지만, 30대 이상에서는 동일 연령대 남성보다 여성에서 5~9%포인트 높게 나타났다(3040 남성 약 12%; 3040 여성 20%).
한편, 가구 내 에어컨 냉방 시 실내 온도를 22도 이하로 설정하는 사람의 22%가 에어컨 냉방으로 건강상 문제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해 23~25도 설정자(13%)나 26도 이상 설정자(14%)와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 응답률은 20%(총 통화 4,994명 중 1,004명 응답 완료)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