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수선(黑水仙)’이라고 하면 아마 배창호 감독의 2001년작 액션영화를 떠올릴지 모른다. 그러나 그것은 고전 외국영화 제목을 멋대로 훔쳐다 쓰는 몰지각한 한국 영화업자들 탓일 뿐 ‘흑수선’은 1947년에 만들어진 영국 고전영화다. 원제 Black Narcissus.
1940~50년대에 ‘블림프 대령의 생과 사(1943)’ ‘분홍신(1948)’ 등의 명작을 통해 명성을 날린 영국의 마이클 파월-에머릭 프레스버거 콤비가 공동으로 제작, 각본, 연출을 담당한 이 영화는 무엇보다 명촬영감독 잭 카디프가 당시로서는 최첨단 기법인 테크니컬러로 찍은, 관객의 숨을 멎게 할 만큼 화려하고 선명한 색채가 돋보이는 화면으로 유명하다(카디프는 이 영화로 아카데미 촬영상을 받았다).
그러나 그 못지않게 유명한 것도 있다. 각각 수녀와 인도 원주민 처녀로 나오는 데보라 커와 진 시몬스 두 영국 여배우의 아름다움이다. 수녀역을 맡아 최소한의 화장만 하고 거의 ‘쌩얼’을 보여주는 청순하고 기품 있는 데보라 커의 미모와 얼굴을 검게 칠하고 인도식 코걸이를 한 채 마치 숲 속의 요정 같은 모습을 보여주는 신인 시절 진 시몬스의 자태는 화면을 수놓은 어떤 꽃보다 아름답다. 이 두 여배우를 보는 것만으로 티켓 값은 하고도 남는다.
이와 함께 이 영화가 이름 높은 고전으로 대접받는 것은 영화사적으로 초기의 걸작 ‘에로영화’라는 점이다. 에로영화라니까 여성의 적나라하게 벗은 모습과 섹스장면이 난무하는 요즘 에로영화를 연상할지 모르지만 물론 그런 영화들과는 아예 차원이 다르다. 영화의 무대가 히말라야 오지에 위치한 수녀원이고 주요 등장인물들 역시 수녀인 만큼 혹시 변태적인 에로티시즘 아닌가 라고 넘겨짚을 이도 있을 것 같아 말해두지만 역시 전혀 아니다. 한마디로 요즘의 에로영화들처럼 말초적 성적 흥분을 유발하는 것과는 일절 무관하다.
영화가 수녀들의 미처 떨쳐내지 못한 세속적 욕념과 남자를 둘러싼 거의 무의식적인 갈등과 질투를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모두 은유와 암시를 통해서 묘사된다. 마이클 파월에 따르면 “모든 프레임과 이미지에 에로티시즘이 들어가 있다”. 명감독 마틴 스코세지는 이와 관련해 “특히 마지막 4분의 1 부분을 볼 때 위대한 에로티시즘 영화가 아닐 수 없다”고 찬양하면서 자신의 영화작업에 대단히 큰 영향을 주었다고 털어놨다. 사실 ‘흑수선’을 보는 것은 새로운 경험이었다. 이런 에로티시즘도 있을 수 있구나, 그리고 옛날 영화들에서도 에로티시즘을 찾을 수 있구나 하는.
실제로 옛날 영화들을 뒤져보면 괜찮은, 때로는 멋진 에로영화들을 발견할 수 있다. 요즘 젊은이들로서는 상상이 잘 안되겠지만.
원래 할리우드 영화는 1922년 영화제작자 및 배급자협회(MPPDA)가 설립돼 1934년 이 단체가 미국영화협회(MPAA)로 이름을 바꾸면서 ‘영화제작 윤리강령(Production Code)’이 만들어지기 전까지 비교적 자유롭게 에로티시즘을 포함해 모든 것을 묘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윤리강령이 생긴 뒤부터 에로틱한 내용이나 장면이라든가 비속어, 종교적 금기어 사용 등 당시까지 살아있던 청교도 윤리를 비롯해 극보수적 도덕률에 위배되는 것은 모두 철저히 금지됐다. 아울러 미국사회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던 가톨릭교회도 같은 해 나름대로의 금지규정(Catholic Legion of Decency)을 발표해 이를 거들었다. 말하자면 영화 ‘시네마천국’에서 가톨릭 신부가 사전 검열을 통해 키스장면이라면 모조리 삭제하는 것과 유사한 행위가 할리우드에서 이뤄지기 시작한 것.
그럼에도 할리우드는 에로영화를 줄기차게 만들어냈다. 노골적인 묘사 대신 주로 암시, 은유 등을 통한 것이었지만. (이 때문에 오히려 영화의 질은 높아졌다는 블랙코미디 같은 평이 나오기도 했다.)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와 관련된, 그래서 돈벌이와도 불가분의 관계인 에로티시즘을 영화업자들이 순순히 포기하지 않았던 것.
우선 윤리강령이 나올 무렵에 제작된 영화부터 보자. 그 유명한 ‘킹콩(1933)’. 이 영화가 에로영화라고? 그렇다. 이 영화는 동화 ‘미녀와 야수’의 현대판으로 일단 겉보기에는 괴수 모험영화로 분류되지만 한 꺼풀 벗기고 보면 검은 털로 뒤덮인 거대한 유인원으로 설정된 흑인 남자와 금발의 백인 여자 사이의 인종간 에로티시즘을 은유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 결과 당시의 윤리관대로 이 ‘잘못된 사랑’에는 징벌이 가해져 결국 흑인 남자를 상징하는 킹콩이 죽음을 맞게 되는데(백인 여자는 살려두고), 마지막 장면에서 킹콩이 필사적으로 기어오르는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은 그 형상에서 남성 성기를 은유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윤리강령 이후의 에로영화로는 고전 중의 고전 ‘카사블랑카(1943)’가 있다. 물론 이 영화는 기본적으로 불륜의 로맨스를 그리고 있지만 노골적으로 에로티시즘을 묘사한 부분이 있다. 유부녀 잉그리드 버그먼이 전애인 험프리 보가트의 아파트에서 보가트의 팔에 안겨 사랑을 고백하고 격렬한 키스를 나눈 뒤 화면이 페이드 아웃되는 장면이다. 그것이 무엇을 암시하는가? 말하나 마나다.
이런 에로영화들은 장르를 불문하고 만들어졌다. 하지만 아무래도 가장 눈에 띄는 건 필름 누아르 분야였다. 그중 대표격이 라나 터너를 섹시한 팜므 파탈로 우뚝 서게 한 ‘우편배달부는 벨을 두 번 울린다(The Postman Always Rings Twice, 1946)’였다. 이 영화는 1981년에 봅 라펠슨 감독, 제시카 랭, 잭 니콜슨 주연으로 리메이크돼 역시 히트했다. 이밖에 팜므 파탈을 내세운 에로영화로 빌리 와일더 감독의 ‘이중배상(Double Indemnity, 1944, 바바라 스탠윅)’과 찰스 비더 감독의 ‘길다(Gilda, 1946, 리타 헤이워스)’가 유명하다.
물론 범죄를 곁들인 누아르의 에로티시즘이 아니라 정면으로 에로티시즘을 다룬 영화도 많다. 끈적거리는 에로틱한 느낌이 객석에까지 전해올 것 같았던 말론 브랜도, 비비안 리 주연의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1951)’를 필두로 어린 소녀의 에로티시즘을 다룬 엘리아 카잔 감독의 ‘베이비 돌(Baby Doll, 1956, 캐롤 베이커)’과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롤리타(1962, 수 라이언)’, 반대로 연하남과 연상녀의 에로티시즘을 그린 빈센트 미넬리 감독의 ‘차와 동정(Tea and Sympathy, 1956, 데보라 커)’, 어른들의 에로틱한 세계를 복잡하게 묘사한 리처드 브룩스 감독의 ‘뜨거운 양철지붕 위의 고양이(Cat on a Hot Tin Roof, 1958, 엘리자베스 테일러)’와 조지프 맨키위츠 감독의 ‘지난 여름 갑자기(Suddenly Last Summer, 1959, 엘리자베스 테일러)’ 등.
이후 1967년 MPAA의 윤리강령이 폐지되고 유럽에서 시작된 성 해방 풍조에 따라 암시와 은유는 사라지는 대신 점점 노골적이고 직접적인 에로티시즘 영화들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다. 마이크 니콜스 감독의 ‘졸업(1967)’, 존 슐레진저 감독의 ‘미드나이트 카우보이(1969)’ 등이다. 그러다 그것도 성에 안 차 마침내 ‘목구멍 깊숙이(Deep Throat, 1972, 린다 러브레이스)’를 시작으로 포르노성 에로영화들이 에로영화의 대세를 장악하기에 이르렀음은 더 설명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진정한 에로티시즘은 너무 노골적으로 까발린 데서는 찾을 수 없는 법. 무조건 벗기고 무조건 섹스에 매몰된 요즘 에로영화에 질린 이들이라면 가릴 데 다 가리고 은유와 암시로 은근히 메시지를 전달하는 ‘점잖은’ 옛날 에로영화들을 찾아보는 건 어떨지.
김상온 (프리랜서 영화라이터)
[김상온의 영화이야기]<80>옛날 에로영화는
입력 2016-07-25 1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