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생활밀착형 협치시정 본격 가동

입력 2016-07-21 17:35
20일 오후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린 '서울 협치시정 시민 대토론회'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지난 20일 열린 ‘서울 협치시정 시민 대토론회’가 성공적으로 끝났다고 21일 밝혔다. 오후 2시부터  서울시청 다목청홀에서 열린 토론회에는 시정에 관심을 갖고 있던 시민과 시민사회단체, 전문가 등 300여명이 한자리에 모여 그룹으로 나눠 환경·복지·도시재생·노동·젠더·청년 등 6개 영역의 23개 시민 제안을 라운드 테이블 방식으로 토론한 후 박원순 시장에게 직접 제안했다.
 시민들은 미혼모 일시 쉼터와 미혼부모 지원, 전 세대 공존할 수 있는 문화 및 마을 커뮤니티 공간 마련, 민간주도 문화예술 관련 홍대지역 통합 협치위원회 등을 제안했다.
 시민안전파수꾼은 재난초기 대응을 위한 10만시민 안전파수꾼 양성 프로그램을 제안했다. 한국미혼모지원네트워크는 미혼모 일시쉼터 및 미혼 부모 가족 건강지원사업을 제안했다. 현재 미혼모에 대한 상담과 건강지원이 양육기의 미혼모 중심으로 시행되고 있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왔다.
 자치구 시민사회 활동가들은 자치구 협치 강화를 위한 서울시와 자치구의 패러다임 전환을 제안했다. 시민들이 모이고 꿈을 꿀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지원, 시민의 정책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구에 대한 지원도 요청했다.
 시는 이번 토론회에서 제안된 내용 중 실행 가능한 의견을 오는 8월 중 전문가 회의, 청책토론회 등을 통해 구체화시키고 협약을 통해 내년도 예산에 반영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민선6기 후반기 핵심 시정 기조를 ‘협치와 혁신’으로 내걸고 협치를 시 전반에 뿌리내리게 하기 위해 협치서울협의회(준)와 협치서울추진단을 구성, 체계적으로 협치 시정개혁방안을 준비해 왔다. 협치서울협의회(준)는 서울시 협치와 관련된 중요사항을 심의·조정하는 민관 공동기구로 이번 시민 대토론회를 주도적으로 준비해 왔다. 협치서울추진단은 협치서울협의회가 정한 협치사업의 집행을 총괄하고 제도혁신 방안을 마련하는 민관합동조직이다.
 박원순 시장은 “정책의 기획 단계와 사업시행 과정에서 시민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돼야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시민들이 언제든 필요한 정책을 제안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의견을 듣고 시행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