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개각 카드 가능성 높아지고 있다...대상은?

입력 2016-07-21 07:58


박근혜 대통령이 3대 악재에 내몰리며 개각 수순으로 점점 빠져들고 있다. 레임덕(임기말 권력누수)를 막기 위한 유일한 해법이다.

주한미군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성주 배치 결정으로 찬반 국민 여론이 들끓고 있다.

친박계 핵심인 새누리당 최경환 의원과 윤상현 의원이 김성회 전 새누리당 의원을 압박해 지역구를 옮기게 한 이른바 '서청원 구하기'에 나선 녹취록이 공개되면서 새누리당 내 동력마저 위태로운 상황이다.

여기에다 우병우 민정수석 관련 의혹으로 곤혹스러운 분위기다. 우병우 수석의 퇴진을 기정사실화되는 분위기다.

이런 상황에서 돌파구는 개각 밖에 없다는 분위기가 청와대 내부에서도 솔솔 흘러나오고 있다.

시기는 박 대통령이 여름 휴가를 다녀 온 후인 8월 초가 유력하다. 박 대통령은 과거에도 7월 말에서 8월 초 여름 휴가를 다녀온 뒤 개각을 단행한 바 있다.

우선적으로 거론되는 부처는 미래창조과학부와 문화체육관광부, 환경부, 고용노동부 등이다. 미래부와 문체부는 박 대통령의 양대 국정과제인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의 컨트롤타워라는 점에서 임기 후반 보다 강한 드라이브를 걸기 위한 교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윤성규 환경부 장관 등은 박근혜정부 출범 당시부터 자리를 지켜온 '장수 장관'들도 교체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 사드 배치에 따른 국론분열의 책임을 묻는 차원에서 황교안 국무총리가 개각 대상에 포함될 것이란 시각도 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