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민주주의회복 태스크포스(TF) 팀장인 박범계 의원은 20일 국회에서 회의를 열고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은 본인이 민정수석의 신분을 갖고 검찰수사에 응하겠다고 이야기한다"며 "우리는 대한민국 박근혜정부 민정수석이 수석의 위치에서 검찰에 소환돼 검찰에 조사 받는 모습을 보고 싶지 않다"고 했다.
박 의원은 "진경준 게이트의 원인은 부실검증에 기인한다"라며 "우 수석이 검증을 제대로 했다면 오늘날 진경준 검사장 부패 스캔들이 없었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그것만으로도 우 수석이 물러날 사유는 충분하다. 우 수석은 당당하게 옷을 벗고 검찰 수사에 응하는 것이 공인으로서의 마지막 도리"라고 했다.
신경민 의원은 "19대 중반에 고위공직자 비리수사처가 안 되면 제도 특검이 아닌 기구 특검을 하자고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아무것도 되지 않았다. 제도 특검도 결국은 별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오늘에 왔다"라고 했다.
이어 "그 결과 우병우나 홍만표, 진경준은 정부와 정치권의 비호 속에서 암덩어리처럼 자랐다"고 했다.
백혜련 의원은 "청와대 민정수석실은 어쨌든 살아있는 권력이다. 이 사건이 제대로 수사될지 어떤 국민도 믿을 수 없다"며 "대통령은 즉시 우 수석을 사퇴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일반인으로 수사받게 해야 한다. 감찰도 즉시 착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응천 의원은 "우 수석이 피고발인 피의자 자격으로 현직 민정수석이 검찰청에 나가는 참혹한 모습을 보고 싶지 않다"며 "정무적 책임은 모시는 분에 대한 책임도 있다. 대통령을 모시는 입장이라면 대통령을 위해서 난파 직전의 검찰이 무너지지 않도록 옷을 벗고 수사에 임해라"고 압박했다.
표창원 의원은 "미국의 검은 권력을 군산복합체라고 한다.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부패와 비리의 복합체를 전현직 검찰의 복합체로 부르고 싶다. 그 중심에는 우 수석이 있다"며 "청와대는 즉각 우 수석을 둘러싼 부패 의혹에 대해 엄정하게 수사할 수 있도록 그를 자연인으로 돌려보내야 한다. 우 수석은 자신 있고 당당하게 권력의 외투를 벗고 자신의 무죄를 입증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