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유네스코 유산에 강제징용 사실 반영하라" 요구에 "적절한 조치 취하겠다" 밝혀

입력 2016-07-19 19:52
사토 구니(佐藤地) 주유네스코 일본대사. 유네스코 제공.

일본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자국 내 근대산업시설과 관련, ‘한국인 강제징용 사실을 반영하라’는 요구에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답했다고 외교부가 19일 밝혔다.

외교부에 따르면 사토 구니(佐藤地) 주유네스코 일본대사는 지난 11일 터키 이스탄불에서 열린 제40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에 참석해 “일본은 지난해 WHC의 결정을 존중하며, 정보센터 설립 등 해석전략 준비를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사토 대사는 이어 “이를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전문가위원회를 구성해 적절한 해석전략 작성을 위한 정보수집 등 경과보고서 제출을 준비 중”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이병현 주유네스코 대사가 “일본이 약속이행을 위한 구체적 행동에 나설 것을 진심으로 희망한다”고 발언하자 이같이 답했다.

일본은 지난해 7월 군함도 등 일제강점기 때 한국인이 강제로 끌려갔던 7개 시설을 포함해 23개 근대산업시설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했다. 우리 정부는 외교전을 벌인 끝에 일본이 강제징용 사실을 인정하고 이를 방문객에 알리는 조치를 취하겠다는 약속을 받아냈다.

이번 WHC에선 문화유산 12건, 자연유산 6건, 복합유산 3건 등 총 21건이 새로이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중국 저장(浙江)성 화산 암각화 문화경관, 인도의 날란다 마하비하라 고고유적, 프랑스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의 작품 등이 포함됐다.

회의는 20일까지 열릴 예정이었으나 터키 군사 쿠데타로 지난 17일 종료됐다. 이번 회의에서 논의되지 못한 세계유산 운영지침 개정 등 의제는 10월 초 파리 회의에서 논의될 예정이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