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열린 한·몽골 비즈니스포럼에 참석한 자리에서 축사를 통해 "몽골의 영웅 징기스칸은 아시아를 넘어 유럽까지 드넓은 영토를 개척했다"면서 "세계시장을 개척하며 경제영토 확장에 앞장서고 있는 기업인 여러분은 현대의 징기스칸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일을 시작하면 완료하라는 의미의 '소금을 저으면 녹을 때까지'라는 몽골 격언도 언급하면서 "서로를 신뢰하고 끈기 있게 협력 사업을 진행하면, 여러분 모두 반드시 원하는 결과를 성취해내실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양국의 개방지향성을 바탕으로 자동차와 광물자원에 집중돼 있는 교역을 보다 다양한 분야로 확대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며 "양국의 잠재력을 감안하면 투자 확대의 여지도 크고, 아직은 크지 않은 소비재 분야의 비즈니스 협력도 계속 확대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어 "몽골회사와 한국회사가 합작해 곧 대형 마트를 개점할 계획도 있다고 들었다"며 "이번에 체결되는 '중소기업협력 MOU(양해각서)'를 토대로 중소기업간 정보교환과 비즈니스 기회 발굴 작업을 긴밀하게 진행해서 양국 교역을 더욱 확대시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또 "현재 몽골은 광업개발과 도시화에 따른 전력수요 증대에 대비해 발전소와 송전망을 비롯한 전력 인프라 확충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다"며 "세계적 수준의 전력 인프라를 구축해서 운영해 온 한국 기업들이 몽골의 전력 인프라 확충 계획에 참여한다면 서로 '윈-윈'하는 좋은 결실을 맺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한국과 몽골 기업이 참여중인 '제5발전소' 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돼 양국 경협의 상징으로 우뚝 서기 바란다"며 "한국 기업은 몽골 신공항, 샹그릴라 복합쇼핑몰 건설사업 등에서 시공능력과 신뢰성을 인정받고 있는데 몽골이 계획 중인 건설 인프라 프로젝트에 보다 더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해서도 "한국은 기후변화가 경제의 부담이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이를 새로운 성장의 기회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몽골의 신재생 자원과 한국의 에너지 신기술이 합쳐진다면 기후변화 대응을 넘어 양국 비즈니스 협력의 신모델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