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 참패 원인을 담은 새누리당 국민 백서가 17일 공개됐다.
새누리당 패배 주원인으로 정부, 박근혜 대통령의 '불통'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는 점이다. 먼저 국민은 이번 총선 참패의 원인으로 '계파 갈등'을 가장 많이 꼽았다.
대통령의 '배신의 정치' 발언으로 불통 이미지가 더욱 뚜렷하게 각인됐으며, 이 말로 친박과 비박 간의 대결 구도가 만들어졌고 총선 공천 과정까지 이어졌다는 것이다.
'새누리당'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로 '대통령'을 많이 꼽았으며 동시에 '친박'에서 분화된 각종 '박' 용어들도 정리됐다. '진실한 친박'인 '진박'부터 강박(강성 친박), 옹박(친박 옹위 부대), 원박(원조 친박), 맹박(맹종하는 친박), 신박(신친박), 범박(범친박), 죽박(죽을 때까지 친박), 낀박(중간에 낀 친박), 가박(가짜 친박), 수박(수틀린 친박), 복박(돌아온 친박), 멀박(멀어진 친박), 짤박(잘린 친박), 울박(울고 싶은 친박), 홀박(홀대받는 친박) 등 친박용어사전도 등장했다.
세월호, 메르스, 국정교과서, 위안부 합의 등 정부의 정책이 국민들의 공감을 얻지 못해 집권여당 심판으로 이어졌다는 분석도 나왔다. 특히 역사교과서 국정화 문제는 국민이 공감하지 못한 대표적 정책 중 하나로 꼽혔다. 백서 속 국민은 국정교과서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객관성이 떨어지는 작업이라고 혹평했다.
친박계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에 대한 비난도 쏟아졌다. 공관위가 자의적 기준으로 논란을 자초하고, 사실상 밀실공천으로 국민들이 실망감을 느꼈다는 지적이 나왔다. 동시에 김무성 전 대표의 '180석 발언' 등 오만했던 모습도 참패 주원인으로 파악됐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