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사드 논란 정국 정면 돌파 선언 왜?

입력 2016-07-14 14:44

박근혜 대통령이 14일 사드의 경북 성주 배치에 대한 논란을 정면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박 대통령은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지금은 사드 배치와 관련된 불필요한 논쟁을 멈출 때"라고 분명히 못박았다.
 박 대통령은 "오늘날 대한민국의 안보는 커다란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이해당사자 간에 충돌과 반목으로 정쟁이 나서 국가와 국민의 안위를 잃어버린다면 더 이상 대한민국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도 했다.

박 대통령이 몽골 순방을 앞둔 상황에서 예정에 없던 NSC를 열어 사드 배치 논란에 대해 직접 나선 것은 지역사회와 정치권의 반발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을 방치해서는 안된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사드 배치 논란이 영남권 신공항 때처럼 지역갈등과 정치권 분열의 도화선이 될 것으로 우려되자 박 대통령은 4박5일 간의 몽골 순방에 앞서서 이 문제를 확실히 정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절박감을 느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박 대통령은 야당과 여당 일각을 겨냥해 "여야 지도부를 포함해서 의원들의 관심과 의견을 광범위하게 수렴하면서 국가안보와 국민안전을 위한 협력을 구할 것"이라며 적극적인 대국회 소통을 약속했다.

또 "사드 배치 과정이 워낙 위중한 국가 안위와 국민 안전이 달린 문제라서 공개적으로 논의를 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며 "다양한 선정 지역을 가지고 논의를 광범위 하게 하지 못한 것은 위중한 사안이라 어쩔 수 없었다는 것을 이해해 주시기 바란다"면서 밀실 행정 논란에 대한 양해도 구했다.

사드 레이더에서 나오는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 우려를 구체적인 수치까지 제시하며 불식시키는 데도 힘썼다.

박 대통령은 "레이더 설치 지점도 주민들이 거주하는 지역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는데다가 높은 고지에 있어서 레이더 전자파의 영향도 없다"며 "그 아래 지역은 전혀 우려할 필요가 없는, 오히려 우려한다는 것이 이상할 정도로 우려할 필요가 없는 안전한 지역"이라고 말했다.

이어 "따라서 인체나 농작물에 전혀 피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면서 성주 참외농가와 지역 주민들의 걱정을 달랬다.

특히 박 대통령은 "지역 주민들과의 소통을 통해서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지원 방안도 찾기를 바란다"며 "국가 안위를 위해 지역을 할애해 준 주민들에게 보답해야 된다"고 당부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