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가중점데이터 개방 연말까지 33개 분야로 확대

입력 2016-07-14 12:01
정부기관이 보유한 공공데이터들은 산업적 파급효과가 크고 민간에 도움이 되는 정보가 많다. 정부가 국민생활을 편리하게 하고 산업계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핵심 공공데이트 민간 개방에 속도를 내고 있다.

행정자치부는 올해 상반기에 식의약품종합정보·국가재난정보 등 10개 분야의 국가중점데이터를 개방한 데 이어 하반기에도 국가조달정보 등 12개 분야를 추가 개방할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국가중점데이터는 민·관합동TF가 국민·기업·전문가 수요조사 등을 통해 선정한 것으로 사회경제적 편익과 파급효과가 큰 전국 단위 대용량 데이터를 말한다.

식약처는 상반기에 식품원재료정보, 의약품 부작용 정보 등 식의약품 관련 6종 30만 건을 개방했다. 국민안전처는 화재통계, 생활안전지도 등 국가재난관리 정보 24종 약 1000만 건을 공개했다. 국토교통부는 각 시·군·구청에서 부동산 매매 계약 시 신고한 아파트, 단독주택, 다세대주택 등 유형별 부동산 실거래 정보 약 1400만 건을 전면 개방했다.

근로복지공단은 1인 이상 근로자를 고용하는 사업장의 고용·산재보험 가입 정보 등 노동보험 정보 24종 약 300만 건을 개방했다.

이밖에 지방재정정보(행자부) 150만건, 법령정보(법제처) 1500건, 도로명주소정보(행자부) 1000만건, 산업재산권정보(특허청) 63만건, 국가통계통합정보(통계청) 6만건, 교육행정정보(교육부) 1100만건 등이 개방됐다.

정부는 하반기에도 부동산종합정보, 수출입무역통계, 장애연금심사정보, 날씨예보 위성영상, 음식품쓰레기 배출 정보, 도시계획정보, 조달데이터 등 12개 분야 데이터를 개방할 예정이다. 또 국민 수요조사를 통해 선정된 전자공시정보, 전기차 충전소정보, 고속버스 운앵정보 등 43종의 신규 데이터로 개방한다.

정부는 지난해에도 부동산·건축·상권정보 등 11개 분야를 개방한 바 있어 연말이면 개방되는 국가중점데이터는 33개 분야로 늘어나게 된다.

개방된 정보들은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 내 ‘국가 중점개방 데이터’ 메뉴를 통해 찾아볼 수 있다.

행자부는 이런 고가치·고수요 국가중점데이터의 개방으로 민간의 다양한 활용사례 및 일자리 창출 등의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공공데이터 다운로드 건수는 2013년 1만3923건이었으니 그해 공공데이터법이 제정된 후 급증해 지난 6월에는 119만8789건으로 늘었다. 공공데이트를 활용하는 기업체 수도 42만여개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성태 행자부 창조정부조직실장은 “개방·공유·소통·협력의 가치를 앞세운 정부3.0에 따라 공공데이터 개방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며 “공공데이터 개방이 민간의 창업 및 일자리 창출에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