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 군사적 효용성·주민 안전·환경 등 사드 적합”

입력 2016-07-13 15:31
 

한·미 양국은 13일 경북 성주에 주한미군의 사드(THAAD)를 배치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양국 군 당국은 늦어도 내년 말에는 한반도에서 사드를 실전 운용한다는 방침이다.

국방부는 "공동실무단은 사드 체계의 군사적 효용성을 극대화하고 지역 주민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건강과 환경에 영향이 없는 최적의 배치 부지로 경북 성주 지역을 건의했고, 이에 대해 양국 국방장관이 승인했다"고 밝혔다.

공식 발표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장소를 특정해 밝히지 않았으나, 우리 공군의 호크 미사일 부대가 있는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로써 2014년 6월 당시 커티스 스캐퍼로티 주한미군 사령관이 "한반도 사드 전개를 개인적으로 미국 정부에 요청한 적이 있다"고 밝히면서 촉발된 사드 배치 관련 양국 정부 간 협의가 2년1개월 만에 마무리됐다.

북한의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 당일인 지난 2월7일 한·미 양국이 한반도 사드 배치 협의를 공식 선언한 이후 5개월 만이자, 3월4일 한·미 공동실무단 공식 출범 이후 4개월 만이다.

류제승 국방부 정책실장은 평가 기준에 대해서는 "군사적 효용성과 더불어 지역 주민의 안전을 가장 중요한 평가기준으로 적용했다"며 "여러 후보지들에 대한 비교 평가, 시뮬레이션 분석, 현장 실사 등의 정밀한 검토 과정을 거쳤다"고 밝혔다.

또 "성주 지역에서 작전을 운용하게 되면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으로부터 대한민국 전체의 2분의1~3분의2 지역에 살고 계시는 우리 국민의 안전을 더 굳건히 지켜드릴 수 있디"고 밝혔다.

그러면서 "원자력 발전소, 저유시설 등과 같은 국가적으로 중요한 시설과 한·미 동맹의 군사력을 방어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획기적으로 강화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류 실장은 "우리 군은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고 국가 안위를 지키는 조치보다 더 중요한 가치는 없다고 인식하고 있다"면서 "우리 국민과 성주 지역 주민 여러분들께서 이러한 우리 군의 충정을 이해해주시고 지원해주시기를 간곡히 당부 드린다"고 덧붙였다.

이날 발표를 15분 가량 앞두고 오후2시45분쯤 국방부 관계자가 "오후 3시로 예정됐던 브리핑을 취소한다"고 밝혔다가 다시 이를 정정하는 등 소동이 있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