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경관이 역사도심과 한강변, 주요 산 중심으로 중점 관리된다. 또 복합했던 경관구조가 역사도심권, 자연녹지축, 수변축, 경관자원거점으로 재편된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의 ‘서울시 경관계획 재정비(안)’을 마련, 14일 서소문청사 후생동강당에서 시민과 관계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13일 밝혔다.
서울시 경관계획은 도시경관 부문 법정계획으로 도시기본계획과의 정합성을 유지하고, 지구단위계획 등 실행수단인 관련 계획 수립 및 심의 시 경관부문의 방향을 제시한다. 또 역사문화자원, 건축물, 자연녹지, 도시기반시설 등 도시의 다양한 요소들 간 배려와 조화를 통해 경관을 관리·형성하는 방향을 제시한다. 경관법에 따라 수립하고 5년마다 재정비해야 한다.
이번 재정비안은 서울 전역에 대한 경관 보전·관리·형성계획과 경관법에 따라 새로 설정한 중점경관관리구역 및 가이드라인에 대한 내용 등을 담고 있다.
우선 그동안 18개로 세분화됐던 경관관리구역을 중요도에 따라 3개(역사도심, 한강변, 주요산 주변) 중점관리 구역(총 116㎢)으로 단순화하고 나머지는 일반관리지역으로 분류해 별도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계획이다. 주요 산 주변은 국토계획법에 따라 이미 자연경관지구나 고도지구로 지정된 곳은 제외하고 일반 구릉지역이 해당된다.
또 10개 구분돼 복잡했던 경관구조를 면적 개념의 역사도심권(사대문안+한양도성), 선 개념의 자연녹지축(내·외사산, 남북녹지)과 수변축(한강, 지천), 점 개념의 경관자원거점(국가지정문화재+주요경관자원)으로 재편해 경관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고궁이나 성곽은 그 자체가 경관자원이고 그 주변에 문화재보호구역이 설정돼 있는데 문화재보호구역 경계로부터 다시 100m 이내를 경관관리구역으로 지정해 문화재와 어울리는 배치나 지붕 등 건축행위의 가이드라인이 제시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경관사업을 추진할 때는 사업 목적에 따라 시 주도, 자치구 협력, 시민공모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해 시민체감형 생활경관개선은 물론 지역재생에도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14일 공청회에는 경관계획 재정비(안) 발표에 이어 시의원, 전문가, 시민단체 등의 패널토론, 방청석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시는 공청회에 이어 8월 시의회 의견청취 및 국토교통부, 자치구 등 관련기관 부서협의, 9월 경관위원회 심의 등 법적 절차를 마무리하고 올 하반기에 경관계획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서울 경관, 역사도심-한강변-주요산 중심으로 중점관리한다
입력 2016-07-13 1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