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여성 당직자들은 교육 받는 내내 불편했다고 한다. 여성 당직자 A씨는 “성희롱 예방 교육인지 성희롱 조장 교육인지 도대체 모르겠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다른 여성 당직자 B씨도 “성희롱이 별 게 아니라는 듯이 말해 모욕적인 기분까지 들었다”며 “성희롱 예방 교육의 취지에 맞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성희롱 예방 교육인데 성희롱 조장 교육이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 강사로 나선 이는 문강분(50·여) 행복한일연구소 대표였다. 문 대표는 여성과 노동 분야에서 오랫동안 활동한 공인노무사다. 국민의당은 강연 장면을 모두 촬영해 공식 유튜브 계정에 올렸다.
문 대표는 강연에서 ‘성희롱 가해자’를 옹호하는 발언을 수차례 반복했다. 상사가 여직원의 등을 두들기고, 단둘이 밥을 먹으면서 술을 권하는 가상의 성희롱 사례를 제시한 뒤 “사실 김 부장님은 전혀 그럴 의도가 아니었고 정말 선의로 한 거다”고 말했다. 이어 “가해자로 지목된 분들이 참 불쌍하다” “우리의 언어도, 생활도, 풍습도 사실은 다른 것뿐인데 젊은 친구들은 이걸 성적인 문제로 받아들인다”고 했다. 주로 가해자인 50~60대가 별 생각 없이 던진 말이나 행동을 젊은 여성들은 성희롱으로 받아들인다는 의미다.
또 대부분 피해자가 참고 넘어간다는 통계를 소개하며 “이게 미덕 아니겠습니까”라고 했다. 곧이어 문 대표는 박 비대위원장에게 “우리 당에서는 (성희롱이 발생하면) 어떻게 문제제기하고 조치할 수 있습니까”라고 물었다. 박 비대위원장이 “참습니다”라고 답하자 문 대표는 “솔직하니깐 박수 한번”이라며 박수를 유도했다. 대다수 참석자들은 강연 내용에 크게 문제의식을 느끼지 않는 분위기였다.
문 대표는 성희롱 가해자에 대한 처벌이 너무 강하다는 취지의 발언도 했다. 그는 “20년 동안 일한 회사에서 갑자기 성희롱으로 해고되면 가해자들은 징계가 강하다고 생각한다”며 “회사에 돈을 얼마나 벌어다줬는데 노래방 가서 블루스 좀 추자고 했다고 잘려야 되냐. (이런 가해자들의 생각에) 정말 공감이 된다”고 말했다.
교육이 끝나고 난 뒤 국민의당 여성 당직자 중 일부가 문제제기를 했다. 여성단체 등에 ‘강연 내용이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 달라’고 요청했다.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양성평등진흥원 소속의 한 성희롱예방교육 전문강사는 “성희롱의 판단 기준에 가해자의 의도는 포함되지 않는다. 의도가 없었다며 가해자를 옹호하는 발언은 문제가 있다”며 “강사 의도와는 별도로 충분히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문 대표는 12일 국민일보와의 전화 통화에서 “가해자 처벌만 강조하면 여성 고용을 회피하거나 줄이는 등 오히려 양성평등과 멀어지는 부정적 측면도 있다는 취지에서 말한 것”이라며 “다양한 분들을 고려하지 못하고 국회의원 중심으로 교육을 하다가 잘못 전달된 부분이 있는 것 같다. 불편함을 느낀 분들이 있다면 죄송하다”고 해명했다.
김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