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강선우 부대변인은 11일 논평을 통해 강남역 살인사건을 정신질환 범죄로 결론낸 검찰 수사결과와 관련 "여성혐오 범죄가 아니라는 검찰의 반쪽짜리 결론은 유감"이라고 말했다.
강 부대변인은 "일반적인 여성에 대해 반감을 보였음에도 한 명의 여성과 교제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해서 여성혐오 범죄가 아니라는 검찰의 설명은 쉽게 납득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강 부대변인은 "김씨가 우발적이 아니라 계획적으로, 남성이 아닌 여성을 대상으로 범행을 저질렀다는 점을 감안할 때 과연 이번 사건을 단순히 개인의 정신 문제로 단정할 수 있는지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강 부대변인은 "범죄를 저지른 개인에게서 원인을 찾는 것은 범죄에 대한 국가·정부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가장 쉬운 방법"이라며 "검찰이 국가·정부의 책임을 덜어주려 사회적 현상인 여성혐오를 자의적으로 해석한 것은 아닌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강 부대변인은 "양극화, 빈부격차, 아무리 노력해도 벗어날 사다리가 없는 현실에 국민들은 분노한다"며 "이를 국가와 정부가 불통과 모르쇠로 외면하면 결국 분풀이 대상을 나보다 약한 사회적 약자들 중에서 찾게 된다"고 했다.
그는 같은 맥락에서 "이번 사건 또한 자신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 사회적 약자가 더 약한 사회적 약자를 살인한 사건"이라고 규정, 사회격차·불평등이 더 약한 이들을 향한 혐오로 연결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보기]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