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P2P 대출 가이드라인 마련 나선다

입력 2016-07-11 12:00
금융위원회는 P2P(개인 간) 대출 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모색하기 위해 태스크포스(TF)팀을 꾸리고 가이드라인 마련에 나선다고 11일 밝혔다. P2P 대출과 관련해 금융 당국이 가이드라인 마련에 나서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금융 당국은 관련 TF에서 거짓·과장 광고 등 금지사항, 투자자보호 사항 등을 중점 논의할 계획이다.
국내 P2P 시장의 대출 규모는 지난 3월말 기준 723억7000억여원으로 지난해 12월(350억3000억원) 보다 2배 이상 늘었다. P2P 대출은 은행 등 기존 금융회사의 참여 없이 P2P 업체가 대출을 중개하는 식으로 이뤄진다.
P2P 대출은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새로운 투자방식으로도 부각되고 있다. 미국에서도 P2P 대출규모는 2014년말 55억달러에서 지난해 말 120억달러로 증가했다. 하지만 지난 5월 미국 P2P 대출업체 렌딩클럽의 대출 부정사건이 불거지면서 투자자 보호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금융위는 금융위 사무처장을 TF팀장으로 금융감독원, 연구기관, 시장 전문가 등이 참여한 가운데 TF를 운영할 계획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P2P업체의 창의·혁신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투자자 보호 등을 위한 필수사항 중심으로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TF에서는 확정수익 보장, 거짓·과장 광고 등의 금지행위, 상품·업체에 대한 정보공시, 개인정보 보호 방안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P2P업체뿐만 아니라, 투자자·대출자·연계금융기관(대부업체, 은행, 저축은행 등)의 역할 및 책임에 대해서도 면밀히 살펴볼 계획이다.
관련 가이드라인은 9월 중 초안이 마련되며 10월 시행을 목표로 추진된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