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국경제에 대해 소비를 중심으로 내수는 개선세를 보이고 있지만 고용과 생산 등의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기획재정부는 8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7월호에서 “최근 우리경제는 소비를 중심으로 내수가 개선세를 보이고 있지만 고용증가세가 둔화되고 생산도 그간의 부진에서 충분히 회복되지 못한 모습”이라고 했다.
5월 광공업 생산은 반도체와 자동차 호조, 2개월 연속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전월보다 2.5% 늘어났다. 기재부는 6월에는 수출부진 완화 등 긍정적 요인이 있지만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등 대외 불확실성 확대와 5월 큰 폭 반등에 다른 기저효과로 하방 요인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고용지표도 5월 국내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보다 26만1000명 늘며 증가 규모가 20만명대 중반에 그쳤다. 서비스업 중심으로 취업자가 증가했지만 제조업 부문의 부진이 계속되면서 취업자수가 줄었다.
5월 국내 광공업 생산은 한달전보다 2.5% 늘어 반등했고 서비스업은 0.1% 늘면서 소폭 증가했다.
5월 소매판매도 승용차 등 내구재(1.1%), 의복 등 준내구재(1.2%),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판매가 모두 늘어 전월보다 0.6% 증가했다. 5월 6일 임시 공휴일 지정, 승용차 개별소비세 인하 등 정책 효과에 따른 결과다.
6월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 줄었고 물가도 농·축·수산물이 하락세로 전환하면서 전년 동월보다 0.8% 상승하는데 그쳤다.
정부는 이 같은 생산·소비 지표의 반등이 일시적 요인에 따른 것으로 봤다. 오히려 브렉시트와 중국·신흥국의 부진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하방위험이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금융·외환시장 영향, 경기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적극 대응할 것”이라며 “신속한 추가경정예산 편성과 집행 등을 통해 경기·고용 리스크에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정부 '최근 경제동향'서 “내수 개선세에도 고용·생산 부진 계속”
입력 2016-07-08 1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