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브렉시트 대비 안전판 마련한다… 외환보유액 관리·재원확충

입력 2016-07-08 10:20
 정부가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직후 나타난 외환시장 불안에 대비하기 위해 안전판을 마련한다. 이를 위해 외환보유액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유사시 재원 확충을 통해 위한 제도 정비에 나선다.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82차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82차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6월 브렉시트 직후 나타난 급격한 시장불안은 완화됐지만 시장의 변동성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발생 가능한 모든 상황에 대비하는 등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 부총리는 1993년 EU가 설립된 이래 최초의 탈퇴 사례인 브렉시트로 향후 여파가 어떠한 형태로 전개될지 예단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여기에 미국, 프랑스, 독일 등 주요국 선거일정과 미국, 일본의 통화정책 불확실성 등 위험요인이 다수 있어 안도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봤다.
 유 부총리는 “리스크 관리는 물론 경제활력 제고와 경제체질을 강화하는 노력도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가야 한다”며 “브렉시트에 따른 단기적 충격을 방어하는 것을 넘어 중장기적인 국제경제체제 변화를 이해하고 대응전략을 정비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불확실성이 높아진 대외 여건에 대응하기 위해 높고 두터운 대외 안전판을 구축하기로 했다.
 유 부총리는 “우리 경제의 최후의 보루라고 할 수 있는 외환 보유액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고 유사시 재원 확충을 위한 제도를 정비하는 등 시장 불안에 선제적으로 대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여러 국가들과의 정책 공조 강화 방안도 마련했다.
 유 부총리는 “주요 20개국(G20)과 아세안(ASEAN)+3 등 다양한 협의체를 통해 브렉시트의 절차가 원활히 이뤄지고 부정적 파급효과가 확산되지 않도록 긴밀히 협조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브렉시트로 인해 세계화와 자유무역주의가 고립주의와 보호무역주의로 변화하는 상황”이라며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에도 적극 대응해 촘촘한 FTA를 체결 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82차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이날 회의에서는 브렉시트 외에도 경제협력 촉매역할을 위한 신흥국 경협증진자금(약칭 개발금융) 운용방안, 정상외교(이란·아프리카 등) 경제분야 후속조치 계획, 세관당국간 자유무역협정(FTA) 이행협력 MOU 추진 기본계획 등도 논의했다.
 유 부총리는 “성장잠재력이 높은 신흥국들과경제협력의 속도를 낼 수 있도록 ‘신흥국 경협증진자금(약칭 개발금융)이라는새로운 금융 지원수단을 도입·운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개발금융은 수출입은행 채권을 활용한 시장차입자금과 재정으로 차입금리보다 낮은 금리(2~4%)로 자금을 지원하는 것이다. 정부는 우리기업의 해외 진출기반을 제고하고 신흥국과의 경제협력 강화를 도모하기 위한 새로운 금융지원 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