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김정은 체제 들어 12년제 의무교육 제도를 실시하고 교육의 질 제고에 힘을 쏟고 있지만, 기승을 부리고 있는 사교육 때문에 고민에 빠졌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5일 보도했다.
자녀를 외국이나 평양의 좋은 대학에 보내려는 사교육 열풍이 최근 북한의 학부모들 속에서 심하게 부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RFA는 전했다.
한 북한 주민은 “요즘 학부모들의 목표는 자녀들을 외국이나 평양의 좋은 대학에 보내는 것”이라며 “그들 속에서는 ‘보내자, 외국으로!’ ‘보내자, 평양으로!’라는 구호가 공공연히 나돌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다.
이 주민은 “사교육 열풍은 평양이나 지방이나 비슷한 수준이지만, 가격은 차이가 좀 있다”며, “평양에서는 수학 물리와 같은 기초학과목에 대한 교육비는 매달 100위안 정도이고, 컴퓨터와 같은 전문기술 과목에 대해서는 200~500위안까지 부담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극성스런’ 북한의 부모들은 아이들을 문명하게 키우자면 한가지 이상 악기와 체육을 시켜야 한다면서 피아노와 태권도 등 예체능 과목에도 돈을 투자하고 있다"며 “그래서 평양의 특권층 자녀의 경우 사교육 비용으로 매달 인민폐 1천 위안까지 쓰고 있다”고 했다.
이렇게 아이들에게 사교육을 시키자면 부득불 학교 정규 수업이나 사회노동에서 제외시켜야 하기 때문에 학교 교장과 담임선생에게 따로 뇌물을 건네야 한다고 그는 덧붙였다.
이처럼 달아오른 사교육 시장으로 전직 또는 현직 대학교수, 중학교 교원, 과학기술분야 종사자들도 뛰어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교육이 기승을 부리게 된 데는 학교마다 인재교육을 위한 학과목 소조를 운영하고 있지만, 교육기관에 대한 국가의 지원이 턱없이 작아 선생님들이 형식적으로 임하고 있고, 또 부모들도 자녀의 성적이 오르지 않아 외부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또 학교에서 운영하는 과외 프로그램이 학생의 지능개발에 초점을 맞추었다기 보다는 개별행동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비쳐지면서 공교육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졌다는 것이다.
북한 교육당국은 날로 기승을 부리는 사교육을 막기 위해 사교육 종사자들과 학부모에 대한 감시와 통제를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